소고선생 발자취 글답변
본문 바로가기
회원가입
로그인
메인메뉴
전체메뉴열기
대동보열람
대동보자료실
하위분류
등재신청서 자료실
편찬위원회 회의록
신청서접수관리
등재신청서검교공
등재신청서문절공
등재신청서충경공
등재신청서미분류
검교공파룸
하위분류
검교공파기준족보
검교공파사진첩
금계선생학술회
정도전&황준량포럼
선비포럼 삼봉&금계
정도전&금계학술회
녹봉정사 학술회
KBS문화유산 금계
금계선생 변무록
월란척촉회
문절공파룸
하위분류
평해황당상관록
문절공파기준족보
문절공파사진첩
해월동명 학술회
충경공파룸
하위분류
족보용어사전
충경공파기준족보
충경공파사진첩
평해군황희석
삼판서 古宅
하위분류
평해황씨 황유정
정도전재조명
봉화정씨 정운경
삼판서 학술자료
평해황 세거700년
욱양서원 복원자료
MBC선을넘는녀석
무송헌 김담문집
선성(예안)김씨 김담
고택후손 황영회
금계(錦溪)문집
하위분류
금계황준량 발자취
금계문집 내집1권
금계문집 내집 2권
금계문집 내집 3권
금계문집 내집 4권
금계외집 1권 시
금계외집 2권 시
금계외집 3권 시
금계외집 4권 시
금계외집 5권 시
금계외집 6권 시
금계외집 7권 소
금계외집 8권제문
금계외집 9권부록
中觀黃在國
하위분류
혜산중관서예집
중관뉴스모음
중관금혼서화집
중관2006년한묵집
칠곡녹봉정사준공
중관2018년서집
中觀黃在國현판
안동익양서당준공
세아그룹조각식물원
Ph.D.BI
하위분류
금곡(錦谷)유묵집
다시 읽기
사랑을 노래하다
숲을 누비다
시대를 노래하다
천년의 소망
노래로 통하다
삼국유사재고 영상
한국문학회(文學會)
Hwang Hongseop
소수서원
하위분류
소수(紹修)서원지
월란척촉회
황씨중앙종친회
중앙종친회카페
조순호소설 황준량
소고(嘯皐)문집
전체메뉴
대동보열람
대동보자료실
등재신청서 자료실
편찬위원회 회의록
신청서접수관리
등재신청서검교공
등재신청서문절공
등재신청서충경공
등재신청서미분류
검교공파룸
검교공파기준족보
검교공파사진첩
금계선생학술회
정도전&황준량포럼
선비포럼 삼봉&금계
정도전&금계학술회
녹봉정사 학술회
KBS문화유산 금계
금계선생 변무록
월란척촉회
문절공파룸
평해황당상관록
문절공파기준족보
문절공파사진첩
해월동명 학술회
충경공파룸
족보용어사전
충경공파기준족보
충경공파사진첩
평해군황희석
삼판서 古宅
평해황씨 황유정
정도전재조명
봉화정씨 정운경
삼판서 학술자료
평해황 세거700년
욱양서원 복원자료
MBC선을넘는녀석
무송헌 김담문집
선성(예안)김씨 김담
고택후손 황영회
금계(錦溪)문집
금계황준량 발자취
금계문집 내집1권
금계문집 내집 2권
금계문집 내집 3권
금계문집 내집 4권
금계외집 1권 시
금계외집 2권 시
금계외집 3권 시
금계외집 4권 시
금계외집 5권 시
금계외집 6권 시
금계외집 7권 소
금계외집 8권제문
금계외집 9권부록
中觀黃在國
혜산중관서예집
중관뉴스모음
중관금혼서화집
중관2006년한묵집
칠곡녹봉정사준공
중관2018년서집
中觀黃在國현판
안동익양서당준공
세아그룹조각식물원
Ph.D.BI
금곡(錦谷)유묵집
다시 읽기
사랑을 노래하다
숲을 누비다
시대를 노래하다
천년의 소망
노래로 통하다
삼국유사재고 영상
한국문학회(文學會)
Hwang Hongseop
소수서원
소수(紹修)서원지
월란척촉회
황씨중앙종친회
중앙종친회카페
조순호소설 황준량
소고(嘯皐)문집
소고선생 발자취 글답변
소고선생 발자취 글답변
이름
필수
비밀번호
필수
이메일
홈페이지
제목
필수
내용
필수
웹에디터 시작
> > > 박승임 종중의 소장 유물은 16세기에서 17세기에 걸쳐 생존했던 박승임 부자 및 그 후손과 관련된 교지(敎旨)·분재기(分財記)·호구단자(戶口單子) 등 고문서 및 『소고문집』 목판, 각대(角帶) 등이다. 이 중 고문서는 박승임 등의 교지(敎旨)·첩지(牒旨) 17장, 분재기 3장, 호구단자 22장, 시권 1장, 선현유묵 2장, 도(圖) 2장 등이 있다. > > 박승임의 본관은 반남(潘南)이며, 호는 소고(嘯皐)이다. 퇴계 문하에서 수학하고, 1540년(중종 35) 식년문과에 급제한 후, 승문원·예문관·승정원·홍문관 등에서 여러 청환직(淸宦職)을 역임하고, 1569년(선조 2)에는 동지부사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시문에 능하였으며, 중년 이후에는 심학(心學)에 주력하였다. 저서로는 『성리유선(性理類選)』, 『공문심법유취(孔門心法類聚)』, 『강목심법(綱目心法)』, 『소고문집(嘯皐文集)』이 있다. 박승임의 아들 박록(朴漉, 1542~1632)은 호가 취수헌(醉睡軒)으로,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추대될 정도로 신망이 있었다. 1594년 태릉참봉(泰陵參奉)에 제수된 후, 의금부도사 등을 지냈다. > > 문화재 설명 > 박승임 종중의 소장 유물은 16세기에서 17세기에 걸쳐 생존했던 박승임 부자 및 그 후손과 관련된 교지(敎旨)·분재기(分財記)·호구단자(戶口單子) 등 고문서 및 『소고문집』 목판, 각대(角帶) 등이다. 이 중 고문서는 박승임 등의 교지(敎旨)·첩지(牒旨) 17장, 분재기 3장, 호구단자 22장, 시권 1장, 선현유묵 2장, 도(圖) 2장 등이 있다. > > 박승임의 본관은 반남(潘南)이며, 호는 소고(嘯皐)이다. 퇴계 문하에서 수학하고, 1540년(중종 35) 식년문과에 급제한 후, 승문원·예문관·승정원·홍문관 등에서 여러 청환직(淸宦職)을 역임하고, 1569년(선조 2)에는 동지부사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시문에 능하였으며, 중년 이후에는 심학(心學)에 주력하였다. 저서로는 『성리유선(性理類選)』, 『공문심법유취(孔門心法類聚)』, 『강목심법(綱目心法)』, 『소고문집(嘯皐文集)』이 있다. 박승임의 아들 박록(朴漉, 1542~1632)은 호가 취수헌(醉睡軒)으로,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추대될 정도로 신망이 있었다. 1594년 태릉참봉(泰陵參奉)에 제수된 후, 의금부도사 등을 지냈다. > >
웹 에디터 끝
링크 #1
링크 #2
파일 #1
파일 #2
파일 #3
파일 #4
파일 #5
파일 #6
파일 #7
파일 #8
파일 #9
파일 #10
파일 #11
파일 #12
파일 #13
파일 #14
파일 #15
파일 #16
파일 #17
파일 #18
파일 #19
파일 #20
자동등록방지
숫자음성듣기
새로고침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
취소
회사소개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모바일버전
회사명 (주)스피드레이저기술 주소 경기도 광명시 하안로 108 에이스광명타워 208호 사업자 등록번호 119-86-49539 대표 황병극 전화 02-808-3399 팩스 02-6442-7601
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