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화정씨정운경판서 글답변
본문 바로가기
회원가입
로그인
메인메뉴
전체메뉴열기
대동보열람
대동보자료실
하위분류
등재신청서 자료실
편찬위원회 회의록
신청서접수관리
등재신청서검교공
등재신청서문절공
등재신청서충경공
등재신청서미분류
검교공파룸
하위분류
검교공파기준족보
검교공파사진첩
금계선생학술회
정도전&황준량포럼
선비포럼 삼봉&금계
정도전&금계학술회
녹봉정사 학술회
KBS문화유산 금계
금계선생 변무록
월란척촉회
문절공파룸
하위분류
평해황당상관록
문절공파기준족보
문절공파사진첩
해월동명 학술회
충경공파룸
하위분류
족보용어사전
충경공파기준족보
충경공파사진첩
평해군황희석
삼판서 古宅
하위분류
평해황씨 황유정
정도전재조명
봉화정씨 정운경
삼판서 학술자료
평해황 세거700년
욱양서원 복원자료
MBC선을넘는녀석
무송헌 김담문집
선성(예안)김씨 김담
고택후손 황영회
금계(錦溪)문집
하위분류
금계황준량 발자취
금계문집 내집1권
금계문집 내집 2권
금계문집 내집 3권
금계문집 내집 4권
금계외집 1권 시
금계외집 2권 시
금계외집 3권 시
금계외집 4권 시
금계외집 5권 시
금계외집 6권 시
금계외집 7권 소
금계외집 8권제문
금계외집 9권부록
中觀黃在國
하위분류
혜산중관서예집
중관뉴스모음
중관금혼서화집
중관2006년한묵집
칠곡녹봉정사준공
중관2018년서집
中觀黃在國현판
안동익양서당준공
세아그룹조각식물원
Ph.D.BI
하위분류
금곡(錦谷)유묵집
다시 읽기
사랑을 노래하다
숲을 누비다
시대를 노래하다
천년의 소망
노래로 통하다
삼국유사재고 영상
한국문학회(文學會)
Hwang Hongseop
소수서원
하위분류
소수(紹修)서원지
월란척촉회
황씨중앙종친회
중앙종친회카페
조순호소설 황준량
소고(嘯皐)문집
전체메뉴
대동보열람
대동보자료실
등재신청서 자료실
편찬위원회 회의록
신청서접수관리
등재신청서검교공
등재신청서문절공
등재신청서충경공
등재신청서미분류
검교공파룸
검교공파기준족보
검교공파사진첩
금계선생학술회
정도전&황준량포럼
선비포럼 삼봉&금계
정도전&금계학술회
녹봉정사 학술회
KBS문화유산 금계
금계선생 변무록
월란척촉회
문절공파룸
평해황당상관록
문절공파기준족보
문절공파사진첩
해월동명 학술회
충경공파룸
족보용어사전
충경공파기준족보
충경공파사진첩
평해군황희석
삼판서 古宅
평해황씨 황유정
정도전재조명
봉화정씨 정운경
삼판서 학술자료
평해황 세거700년
욱양서원 복원자료
MBC선을넘는녀석
무송헌 김담문집
선성(예안)김씨 김담
고택후손 황영회
금계(錦溪)문집
금계황준량 발자취
금계문집 내집1권
금계문집 내집 2권
금계문집 내집 3권
금계문집 내집 4권
금계외집 1권 시
금계외집 2권 시
금계외집 3권 시
금계외집 4권 시
금계외집 5권 시
금계외집 6권 시
금계외집 7권 소
금계외집 8권제문
금계외집 9권부록
中觀黃在國
혜산중관서예집
중관뉴스모음
중관금혼서화집
중관2006년한묵집
칠곡녹봉정사준공
중관2018년서집
中觀黃在國현판
안동익양서당준공
세아그룹조각식물원
Ph.D.BI
금곡(錦谷)유묵집
다시 읽기
사랑을 노래하다
숲을 누비다
시대를 노래하다
천년의 소망
노래로 통하다
삼국유사재고 영상
한국문학회(文學會)
Hwang Hongseop
소수서원
소수(紹修)서원지
월란척촉회
황씨중앙종친회
중앙종친회카페
조순호소설 황준량
소고(嘯皐)문집
봉화정씨정운경판서 글답변
봉화정씨정운경판서 글답변
이름
필수
비밀번호
필수
이메일
홈페이지
제목
필수
내용
필수
웹에디터 시작
> > > 고려말부터 조선초까지 세 분의 판서가 연이어 살았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이 주택의 첫 주인은 고려공민왕 때 형부상서(조선시대 형조판서)를 지낸 정운경(1305~1366)으로, 정운경은 사위인 공조판서 황유정(1343~ )에게, 황유정은 다시 사위인 영유현령 김소량(1384~1449)에게 이 고택을 물려주었는데 김소량의 아들 김담(1416~1464)이 이조판서에 올랐다. 이때부터 김판서의 후손들이 이 고택에서 대를 이어가며 살았다. 이 고택은 세분의 판서를 비롯하여 조선개국 일등공신 정도전, 사헌부 지평 황전, 집현전학사 김증 등 수 많은 학자와 명신들을 배출한 곳일 뿐만 아니라 경향각지의 많은 선비들과 교류한 조선시대 명문가로서 명성이 높았다. > > 삼판서고택은 구성공원 남쪽 (현 영주동)에서 영주선비의 표상으로 수백년을 이어져 오다가 1961년 대홍수로 기울어지고 수년 후 철거 되었다가 2008년 10월 서천이 내려다보이는 이곳 구학공원에 복원되어 ‘선비의 고장’ 영주를 상징하는 명소로 자리 잡게 되었다. > > 삼판서 약사 > 정판서 : 정운경 (鄭云敬 1305 ~ 1366) > 본관은 봉화이고 사시(私諡)는 염의(廉義)이다. 조선개국공신인 정도전의 아버지로 어려서 영주와 복주(안동)의 향교에서 수학한 뒤 개경에 올라가 십이도와 교유하여 이곡등과 사귀었다. 1326년(충숙왕 13) 사마시에 합격하고, 1330년 문과에 급제하여 이듬해 상주목사로 나갔다. 이 후 전교교감, 주부, 도평의녹사, 삼사도사, 통례문지후, 전의주부, 홍복도감의 판관을 거쳐 1343년 밀성군지사가 되었다. > > 삼사판관을 거쳐 서운부정 성균사예, 보문각지제교, 양강도안렴사, 교주도안렴사, 전법총량에 이르렀다. 이어 전교사판사로 전주목사 병부시랑, 비서감 보문각 직학사로 옮겨 강릉도(江陵道)와 삭방도의 존무사로 파견되어 백성을 안찰하였으며 형부상서에 초수되었다. 검교밀직제학에 제수 되었으나 병으로 사퇴하고 고향인 영주로 돌아왔다. 문계서원에 영렬공 금의 선생과 배향되었으나 고종때 훼철되고 영주 모현사에 제향되었으며 문집은 “염의선생실기”가 있다. > > 황판서 : 황유정 1343 ~ > 본관은 평해로 초휘는 지정, 호는 미균이다. 고려 보문각제학 근의 아들로 영해부사 원로의 손자이며 어머니는 순흥안씨로서 문정공 축의 딸이다. 일찍이 문과에 올라 여러 벼슬을 거쳐 예조 형조전서를 지냈다. 1390년(공양왕 2)에 작성된 ‘영주호적대장’에 의하면 ‘그는 48세에 초계군수를 지냈으며 단정 첨렴하여 백성들과 아전들이 오래도록 그 덕을 기렸다 고 한다.’ > > 그는 젊어서부터 논어를 즐겨 읽었으며 시문에 뛰어나 당인의 풍조가 있었다. 그가 열두살에 안동 유림들의 모임인 도회에 나가 병서라는 시를 지었는데 고간이 이 시구를 보고 놀라 장원으로 뽑았다고 한다. 낙향 후 집에 소쇄헌이라는 현판을 걸고 가금 외손자 김담의 집을 찾아 시를 지으면서 유유자적하기도 했다. > > 김판서 : 김담 (1416~1464) > 본관은 선성(예안)이고 자는 거원 호는 무송헌, 시호는 문절이다. 아버지는 현령소량이며 어머니는 평해황씨이다. 1435년(세종 17)에 식년문과에 급제하여 집현전 정자. 저작랑. 박사. 승문원 부교리를 지냈다. 이후 이조정랑으로 문과 중시에 급제하고 충주목사, 안동부사, 경주부윤을 거쳐 이조판서에 이르렀다. > > 특히 이순지와 함께 ‘칠정산내외편’을 만들었는데 이는 우리나라를 기준으로 한 최초의 역법으로 역학의 기본이 되었다. 그는 이순지와 더불어 당대에 가장 뛰어난 천문학자로서 세종대의 천문. 역법사업에 크게 공헌 하였다.. 또한 안견의 ‘몽유도원도’의 찬시와 천문도가 전한다. 광해군때 영주 사림에서 향현사와 문계서당을 지어 배향했다. 뒤에 다시 귀강서원과 단계서원으로 승격되어 배향되어 오다가 흥선대원군 때 철폐되었다. 저서로는 ‘김문절공일고’ ‘제가역상집’ ‘무송헌문집’등이있다. > > 삼판서고택의 인물 > 정도전(1342 ~ 1398) > 본관은 봉화 자는 종지 호는 삼봉, 시호는 문헌이다. 충주사록으로 출사하여 전교주부 통례문지후, 성균박사, 예의정랑, 성균관대사성, 조선개국공신 1등으로 문하시랑찬성사, 동판도평의사사, 편호조사 겸판상서사사, 보문각대학사, 지경연예문춘추관사, 겸의흥친군위절제사를 겸직하여 판의홍삼군부사 경상 전라 양광 삼도도총제사가 되었다. 저서로 조선경국전 고려국사 경제문감 삼봉집등이 있다. 조선의 모든 문물과 제도를 창안하여 기틀을 잡았다. 삼봉은 몇차례의 유배에서 풀려나 이곳 삼판서고택에서 심신을 달래기도 했다. > > 정도복 (1351 ~ 1435) > 정도전의 동생으로 자는 내지 호는 일봉으로 고려에서 좌승선을 역임했고 조선개국 후 양촌 권근과 함께 학자지남도 등으로 후학들을 지도하여 유학입국을 다지는 데 공헌하였다. 성균관대사성, 한성판윤을 역임하였으며 그가 낙향ㅇ하여 살던곳을 한성판윤이 살앗다 하여 지금도 한성동(이산면 원리)이라 부른다. > > 황전 (1369~1411) > 본관은 평해로 황유정의 아들이다. 사헌부지평 청도군수를 지냈다. > > 황현 (1369~1434) > 황전의 동생으로 권지선균직강, 예문관응교, 성균관대사성 인수부윤을 지냈다. > > 황연 (1380~1461) > 황전의 동생으로 생원 숭의랑 순흥훈도를 지냈다. > > 김소량 (1384~1449) > 본관은 선성으로 중참판 로의 아들이며 김담의 아버지다. 영유헌령을 지냈으며 자헌대부 병조판서에 중직되었다. > > 김증 (? ~ 1456) > 김담의 형이다. 문과 문과중시, 성균관 학유, 집현전 학사, 예조좌랑, 승문원부교리, 김산(김천)군수를 지냈다. 저서로 ‘동국정운’ ‘역대병오’ ‘홍무정운역훈’ ‘직해동자습역훈평화’ 등이 있으며 한글창제에 참여했다. > > 김홍 > 김증의 동생 통례원 통찬을 지냈다. > > 이 밖에도 삼판서 고택에서는 권지훈련원 녹사 김만석, 단성현감 김만균, 통례원좌통에 김만칭, 천문학교수 김만인, 사섬시 첨정 김윤의 등 많은 인물을 배출했다. 또한 그동안 문과 7명, 무과 1명, 생원 5명, 진사 3명을 배출하고 10명이 문집을 남겼다. 그 중에서 정승 1명, 판서급 4명, 성균관대사성 1명, 참판 1명, 홍문관교리 1명, 지방관 3명, 교수 훈도 3명, 참봉 3명 등 많은 인물들이 선비의 집 삼판서 고택을 빛냈다. > >
웹 에디터 끝
링크 #1
링크 #2
파일 #1
파일 #2
파일 #3
파일 #4
파일 #5
파일 #6
파일 #7
파일 #8
파일 #9
파일 #10
파일 #11
파일 #12
파일 #13
파일 #14
파일 #15
파일 #16
파일 #17
파일 #18
파일 #19
파일 #20
자동등록방지
숫자음성듣기
새로고침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
취소
회사소개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모바일버전
회사명 (주)스피드레이저기술 주소 경기도 광명시 하안로 108 에이스광명타워 208호 사업자 등록번호 119-86-49539 대표 황병극 전화 02-808-3399 팩스 02-6442-7601
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