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화정씨정운경판서 글답변
본문 바로가기
회원가입
로그인
메인메뉴
전체메뉴열기
대동보열람
대동보자료실
하위분류
등재신청서 자료실
편찬위원회 회의록
신청서접수관리
등재신청서검교공
등재신청서문절공
등재신청서충경공
등재신청서미분류
검교공파룸
하위분류
검교공파기준족보
검교공파사진첩
금계선생학술회
정도전&황준량포럼
선비포럼 삼봉&금계
정도전&금계학술회
녹봉정사 학술회
KBS문화유산 금계
금계선생 변무록
월란척촉회
문절공파룸
하위분류
평해황당상관록
문절공파기준족보
문절공파사진첩
해월동명 학술회
충경공파룸
하위분류
족보용어사전
충경공파기준족보
충경공파사진첩
평해군황희석
삼판서 古宅
하위분류
평해황씨 황유정
정도전재조명
봉화정씨 정운경
삼판서 학술자료
평해황 세거700년
욱양서원 복원자료
MBC선을넘는녀석
무송헌 김담문집
선성(예안)김씨 김담
고택후손 황영회
금계(錦溪)문집
하위분류
금계황준량 발자취
금계문집 내집1권
금계문집 내집 2권
금계문집 내집 3권
금계문집 내집 4권
금계외집 1권 시
금계외집 2권 시
금계외집 3권 시
금계외집 4권 시
금계외집 5권 시
금계외집 6권 시
금계외집 7권 소
금계외집 8권제문
금계외집 9권부록
中觀黃在國
하위분류
혜산중관서예집
중관뉴스모음
중관금혼서화집
중관2006년한묵집
칠곡녹봉정사준공
중관2018년서집
中觀黃在國현판
안동익양서당준공
세아그룹조각식물원
Ph.D.BI
하위분류
금곡(錦谷)유묵집
다시 읽기
사랑을 노래하다
숲을 누비다
시대를 노래하다
천년의 소망
노래로 통하다
삼국유사재고 영상
한국문학회(文學會)
Hwang Hongseop
소수서원
하위분류
소수(紹修)서원지
월란척촉회
황씨중앙종친회
중앙종친회카페
조순호소설 황준량
소고(嘯皐)문집
전체메뉴
대동보열람
대동보자료실
등재신청서 자료실
편찬위원회 회의록
신청서접수관리
등재신청서검교공
등재신청서문절공
등재신청서충경공
등재신청서미분류
검교공파룸
검교공파기준족보
검교공파사진첩
금계선생학술회
정도전&황준량포럼
선비포럼 삼봉&금계
정도전&금계학술회
녹봉정사 학술회
KBS문화유산 금계
금계선생 변무록
월란척촉회
문절공파룸
평해황당상관록
문절공파기준족보
문절공파사진첩
해월동명 학술회
충경공파룸
족보용어사전
충경공파기준족보
충경공파사진첩
평해군황희석
삼판서 古宅
평해황씨 황유정
정도전재조명
봉화정씨 정운경
삼판서 학술자료
평해황 세거700년
욱양서원 복원자료
MBC선을넘는녀석
무송헌 김담문집
선성(예안)김씨 김담
고택후손 황영회
금계(錦溪)문집
금계황준량 발자취
금계문집 내집1권
금계문집 내집 2권
금계문집 내집 3권
금계문집 내집 4권
금계외집 1권 시
금계외집 2권 시
금계외집 3권 시
금계외집 4권 시
금계외집 5권 시
금계외집 6권 시
금계외집 7권 소
금계외집 8권제문
금계외집 9권부록
中觀黃在國
혜산중관서예집
중관뉴스모음
중관금혼서화집
중관2006년한묵집
칠곡녹봉정사준공
중관2018년서집
中觀黃在國현판
안동익양서당준공
세아그룹조각식물원
Ph.D.BI
금곡(錦谷)유묵집
다시 읽기
사랑을 노래하다
숲을 누비다
시대를 노래하다
천년의 소망
노래로 통하다
삼국유사재고 영상
한국문학회(文學會)
Hwang Hongseop
소수서원
소수(紹修)서원지
월란척촉회
황씨중앙종친회
중앙종친회카페
조순호소설 황준량
소고(嘯皐)문집
봉화정씨정운경판서 글답변
봉화정씨정운경판서 글답변
이름
필수
비밀번호
필수
이메일
홈페이지
제목
필수
내용
필수
웹에디터 시작
> > > 1. 삼판서 고택과 집경루 > > 1)영주 3판서 구택(榮州 三判書 舊宅) > > 이 삼판서구택(三判書舊宅)은 구성공원(龜城公園) 남쪽에 세워졌으며 거금 350여 년 전 김학사(金鶴沙) 선생이 영천군지(榮州郡誌)를 편찬 할 당시 이미 본읍(영주)에서 유일한 고적이라고 기록하였으나 이 건물의 연대는 미상이다. > > 고려 충숙왕 때 봉화인(奉化人) 형부상서 염의 정운경(刑部尙書 廉義 鄭云敬)이 신병으로 관직을 버리고 청렴결백하게 살다가 62세로 세상을 떠났다. 그는 아들 3형제와 딸 하나를 두었으니 장남은 조선 개국 공신 삼봉 도전(三峯 道傳)이고, 차남은 참판 도존(道存), 삼남은 한성 판윤 일봉 도복(逸峯 道復)이였으며, 사위는 평해인(平海人) 공조전서 황유정(工曹典書 黃有定)이다. 그도 또한 3남 1녀로서 장자는 증 지평 전(贈持平, 銓)이고 차남은 문과에 등재한 (祭主, 鉉)이며 삼남은 훈도 연(訓導, 錠)이고 그 사위는 선성인(宣城人) 현감 김소량(縣監, 金小良)이다. > > 그의 아들 문절공 김담(文節公, 金淡)도 이조판서(吏曹判書)에 제수되었으니 따라서 이 구택은 형부상서(刑部尙書) 정운경(鄭云敬)에서 사위 공조전서(工曹典書) 황유정(黃有定)에게로 또 다시 외손 이조판서(吏曹判書) 김담(金淡)에게 전수하였다는 것은 우리나라 가족제도상 드문 일이였다. 그러므로 3공이 다 판서(判書)에 올랐으니 세인은 이 구택을 삼판서 구택이라 부르게 되었다. > > 이 건물은 웅장하지는 않았으나 상당히 규모가 큰 건물이였으며, 집터도 영천(영주) 고을에서 소문난 명당 자리였다. > > 2)삼판서고택(三判書古宅) > > 성밑(귀성공원 아래)에 있었다. 세 판서(判書)가 잇달아 살았다 하여 “삼판서옛집”이라 일컫는 이 집은 고려 공민왕때 형부상서(刑部尙書)를 지낸 정운경(鄭云敬-鄭道傳의 아버지)이 살았다가, 그 사위인 판서 황유정(黃有定)에게 물려주고, 판서 황유정은 그 외손자 판서 김담(金淡)에게 물려주었다. 조선후기까지 김담의 후손이 대대로 살던 이 집은 8·15광복뒤까지 보존되었는데 해방후 수해로 무너졌다. 영주의 귀중한 문화재였다. > > 3)집경루(集敬樓) > > 삼판서고택의 루이다. 간옹(艮翁) 이헌경(李獻慶)의 중건기(重建記) > > 「영주(榮州)에는 옛날 삼판서댁(三判書宅)이 있으니, 고려말의 정판서(鄭判書)가 그 사위 황판서(黃判書)에게 황판서가 다시 그 외손자 김판서(金淡)에게 전하여 김판서의 자손이 대대로 살아 지금까지 십여대에 이르고 있다. > > 5~600년을 지내는 동안 여러번 무너지고 보수하고 했으나 오직 동편 누각(樓閣)만은 아직 보존되는데, 몹시 퇴락하여, 겨우 지탱하는 지경이라. 그 종중이 힘을 모아 다시 세울세, 경비 3백량과 인부 2천여명으로 2년에 걸쳐 준공했으니, 정침(正寢)과 외랑(外廊) 합쳐 모두 25칸에 동쪽 누각은 전보다 1칸을 늘렸으니 종중의 모임을 위함이었다. > > 누(樓)는 본래 이름이 없어, 종손 응련(應鍊)이 나를 찾아와 이름을 청했다. 나는 듣고 기뻐하여 > > “어찌 아름답지 않으랴! 옛 글에 고향도 공경한다 했거든 하물며 조상 문절공(文節公 : 金淡)이 정·황판서에게 물려받아 십여대를 지켜왔음이겠는가. 자손의 공경이 쇠하지 않아, 온 족친이 한 마음으로 조상을 공경하는 정성에서 이룩했으니, 이는 어느 한 사람의 공경이 아니라, 모든 자손의 공경을 모았음인즉 어찌 “집경(集敬)”이라 이름하지 않을 것인가”」 > > > 2. 삼판서 고택사(三判書 古宅史) > > ·정운경(鄭云敬) 선생 기거 (鄭公宅) : 1305~1366 > > ·황유정(黃有定) 선생 기거 (黃公宅) : 1343 ~ ? > > ·김 담(金 淡) 선생 기거 (金公宅) : 1416~1464 > > ·1778년(정조 2) 삼판서 고택 중수 논의 > > ·1779년(정조 3) 가을에 東樓 중수 > > ·1781년(정조 5) 삼판서 고택 중수 완료 (정침과 외랑 25칸) > > ·1784년(헌종 6) 동루(集敬樓) 이건. ‘무송헌(撫松軒)’ 현판을 동루에 걸다. > > ·1961년 영주 대홍수시 철거됨 > > 2008년 10월 구학공원에 복원 > >
웹 에디터 끝
링크 #1
링크 #2
파일 #1
파일 #2
파일 #3
파일 #4
파일 #5
파일 #6
파일 #7
파일 #8
파일 #9
파일 #10
파일 #11
파일 #12
파일 #13
파일 #14
파일 #15
파일 #16
파일 #17
파일 #18
파일 #19
파일 #20
자동등록방지
숫자음성듣기
새로고침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
취소
회사소개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모바일버전
회사명 (주)스피드레이저기술 주소 경기도 광명시 하안로 108 에이스광명타워 208호 사업자 등록번호 119-86-49539 대표 황병극 전화 02-808-3399 팩스 02-6442-7601
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