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계외집 9권부록 글답변
본문 바로가기
회원가입
로그인
메인메뉴
전체메뉴열기
대동보열람
대동보자료실
하위분류
등재신청서 자료실
편찬위원회 회의록
신청서접수관리
등재신청서검교공
등재신청서문절공
등재신청서충경공
등재신청서미분류
검교공파룸
하위분류
검교공파기준족보
검교공파사진첩
금계선생학술회
정도전&황준량포럼
선비포럼 삼봉&금계
정도전&금계학술회
녹봉정사 학술회
KBS문화유산 금계
금계선생 변무록
월란척촉회
문절공파룸
하위분류
평해황당상관록
문절공파기준족보
문절공파사진첩
해월동명 학술회
충경공파룸
하위분류
족보용어사전
충경공파기준족보
충경공파사진첩
평해군황희석
삼판서 古宅
하위분류
평해황씨 황유정
정도전재조명
봉화정씨 정운경
삼판서 학술자료
평해황 세거700년
욱양서원 복원자료
MBC선을넘는녀석
무송헌 김담문집
선성(예안)김씨 김담
고택후손 황영회
금계(錦溪)문집
하위분류
금계황준량 발자취
금계문집 내집1권
금계문집 내집 2권
금계문집 내집 3권
금계문집 내집 4권
금계외집 1권 시
금계외집 2권 시
금계외집 3권 시
금계외집 4권 시
금계외집 5권 시
금계외집 6권 시
금계외집 7권 소
금계외집 8권제문
금계외집 9권부록
中觀黃在國
하위분류
혜산중관서예집
중관뉴스모음
중관금혼서화집
중관2006년한묵집
칠곡녹봉정사준공
중관2018년서집
中觀黃在國현판
안동익양서당준공
세아그룹조각식물원
Ph.D.BI
하위분류
금곡(錦谷)유묵집
다시 읽기
사랑을 노래하다
숲을 누비다
시대를 노래하다
천년의 소망
노래로 통하다
삼국유사재고 영상
한국문학회(文學會)
Hwang Hongseop
소수서원
하위분류
소수(紹修)서원지
월란척촉회
황씨중앙종친회
중앙종친회카페
조순호소설 황준량
소고(嘯皐)문집
전체메뉴
대동보열람
대동보자료실
등재신청서 자료실
편찬위원회 회의록
신청서접수관리
등재신청서검교공
등재신청서문절공
등재신청서충경공
등재신청서미분류
검교공파룸
검교공파기준족보
검교공파사진첩
금계선생학술회
정도전&황준량포럼
선비포럼 삼봉&금계
정도전&금계학술회
녹봉정사 학술회
KBS문화유산 금계
금계선생 변무록
월란척촉회
문절공파룸
평해황당상관록
문절공파기준족보
문절공파사진첩
해월동명 학술회
충경공파룸
족보용어사전
충경공파기준족보
충경공파사진첩
평해군황희석
삼판서 古宅
평해황씨 황유정
정도전재조명
봉화정씨 정운경
삼판서 학술자료
평해황 세거700년
욱양서원 복원자료
MBC선을넘는녀석
무송헌 김담문집
선성(예안)김씨 김담
고택후손 황영회
금계(錦溪)문집
금계황준량 발자취
금계문집 내집1권
금계문집 내집 2권
금계문집 내집 3권
금계문집 내집 4권
금계외집 1권 시
금계외집 2권 시
금계외집 3권 시
금계외집 4권 시
금계외집 5권 시
금계외집 6권 시
금계외집 7권 소
금계외집 8권제문
금계외집 9권부록
中觀黃在國
혜산중관서예집
중관뉴스모음
중관금혼서화집
중관2006년한묵집
칠곡녹봉정사준공
중관2018년서집
中觀黃在國현판
안동익양서당준공
세아그룹조각식물원
Ph.D.BI
금곡(錦谷)유묵집
다시 읽기
사랑을 노래하다
숲을 누비다
시대를 노래하다
천년의 소망
노래로 통하다
삼국유사재고 영상
한국문학회(文學會)
Hwang Hongseop
소수서원
소수(紹修)서원지
월란척촉회
황씨중앙종친회
중앙종친회카페
조순호소설 황준량
소고(嘯皐)문집
금계외집 9권부록 글답변
금계외집 9권부록 글답변
이름
필수
비밀번호
필수
이메일
홈페이지
옵션
HTML
제목
필수
내용
필수
웹에디터 시작
> > > 제문〔祭文〕 한강(寒岡) 정구(鄭逑) [정구(鄭逑)] > > 타고난 천자가 청수하여 / 生天資淸秀 > 재화가 뛰어나고 훌륭했으며 / 才華超偉 > 돈독하게 학문하는 뜻은 / 篤學之志 > 늦을수록 더욱 힘썼네 / 晩而愈勵 > 우리 성주 고을에 오셔서 / 及到吾州 > 후생들을 잘 훈도하였으니 / 導迪後生 > 지금도 선비들이 / 至今士子 > 끼친 교화를 감격하여 추대한다네 / 感戴遺化 > 오래되어도 잊지 못하니 / 久而不忘 > 우리 어리석은 유생들은 / 況我愚生 > 일찍 알아주고 권장함을 입었으니 / 早蒙知奬 > 나를 아끼는 뜻을 기대하며 허여하였구나 / 其所以期許愛予之意 > 대개 보통보다 뛰어나 / 蓋出乎尋常 > 비록 질병으로 혼미하고 게을러도 / 雖以疾病昏惰 > 실제로 그 힘을 쓰지 않아 / 未嘗實用其力 > 늙어서도 이룬 것이 없었네 / 老而無成 > 노둔하고 어리석어 꺾였으니 / 魯莾摧頹 > 길이 등진 것이 부끄럽고 슬퍼서 / 長負慙悼 > 일생동안 공경히 이어받아 / 而一生欽承 > 감히 실추하지 않을 것을 생각하니 / 思不敢失墜者 > 어찌 스스로 그만 둘 수 있겠나 / 則又何可以自已也耶 > 아름다운 성에 무덤을 정한 것이 / 佳城之卜 > 이제 사오십 년이나 되었네 / 今四十五年矣 > 적막한 공산에 / 寂寞空山 > 묵은 풀도 처량하네 / 宿草凄涼 > 이에 와서 / 玆焉來過 > 공경히 술 한 잔 드리네 / 敬奠一觴 > 병든 회포를 감격스럽게 생각하니 / 感念疚懷 > 스스로 견디지 못할 것 같네 / 如不自勝 > 선생께서 없어지지 않았다면 / 惟先生之不亡 > 보시고 흠향함이 있을 것이다 / 其尙有以鑑饗也哉 > > [주-D001] 정구(鄭逑) : 1543~1620.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도가(道可), 호는 한강(寒岡), 시호는 문목(文穆)이다. 오건(吳健)에게 수학하였고, 조식(曺植)과 이황(李滉)에게 성리학(性理學)을 배웠다. 이 글은 정구가 1607년(선조40) 1월에 안동 부사로 제수되어 부임하는 길에 무덤을 찾아와 올린 제문이다. > >
웹 에디터 끝
링크 #1
링크 #2
파일 #1
파일 #2
자동등록방지
숫자음성듣기
새로고침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
취소
회사소개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모바일버전
회사명 (주)스피드레이저기술 주소 경기도 광명시 하안로 108 에이스광명타워 208호 사업자 등록번호 119-86-49539 대표 황병극 전화 02-808-3399 팩스 02-6442-7601
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