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계외집 1권 시 글답변
본문 바로가기
회원가입
로그인
메인메뉴
전체메뉴열기
대동보열람
대동보자료실
하위분류
등재신청서 자료실
편찬위원회 회의록
신청서접수관리
등재신청서검교공
등재신청서문절공
등재신청서충경공
등재신청서미분류
검교공파룸
하위분류
검교공파기준족보
검교공파사진첩
금계선생학술회
정도전&황준량포럼
선비포럼 삼봉&금계
정도전&금계학술회
녹봉정사 학술회
KBS문화유산 금계
금계선생 변무록
월란척촉회
문절공파룸
하위분류
평해황당상관록
문절공파기준족보
문절공파사진첩
해월동명 학술회
충경공파룸
하위분류
족보용어사전
충경공파기준족보
충경공파사진첩
평해군황희석
삼판서 古宅
하위분류
평해황씨 황유정
정도전재조명
봉화정씨 정운경
삼판서 학술자료
평해황 세거700년
욱양서원 복원자료
MBC선을넘는녀석
무송헌 김담문집
선성(예안)김씨 김담
고택후손 황영회
금계(錦溪)문집
하위분류
금계황준량 발자취
금계문집 내집1권
금계문집 내집 2권
금계문집 내집 3권
금계문집 내집 4권
금계외집 1권 시
금계외집 2권 시
금계외집 3권 시
금계외집 4권 시
금계외집 5권 시
금계외집 6권 시
금계외집 7권 소
금계외집 8권제문
금계외집 9권부록
中觀黃在國
하위분류
혜산중관서예집
중관뉴스모음
중관금혼서화집
중관2006년한묵집
칠곡녹봉정사준공
중관2018년서집
中觀黃在國현판
안동익양서당준공
세아그룹조각식물원
Ph.D.BI
하위분류
금곡(錦谷)유묵집
다시 읽기
사랑을 노래하다
숲을 누비다
시대를 노래하다
천년의 소망
노래로 통하다
삼국유사재고 영상
한국문학회(文學會)
Hwang Hongseop
소수서원
하위분류
소수(紹修)서원지
월란척촉회
황씨중앙종친회
중앙종친회카페
조순호소설 황준량
소고(嘯皐)문집
전체메뉴
대동보열람
대동보자료실
등재신청서 자료실
편찬위원회 회의록
신청서접수관리
등재신청서검교공
등재신청서문절공
등재신청서충경공
등재신청서미분류
검교공파룸
검교공파기준족보
검교공파사진첩
금계선생학술회
정도전&황준량포럼
선비포럼 삼봉&금계
정도전&금계학술회
녹봉정사 학술회
KBS문화유산 금계
금계선생 변무록
월란척촉회
문절공파룸
평해황당상관록
문절공파기준족보
문절공파사진첩
해월동명 학술회
충경공파룸
족보용어사전
충경공파기준족보
충경공파사진첩
평해군황희석
삼판서 古宅
평해황씨 황유정
정도전재조명
봉화정씨 정운경
삼판서 학술자료
평해황 세거700년
욱양서원 복원자료
MBC선을넘는녀석
무송헌 김담문집
선성(예안)김씨 김담
고택후손 황영회
금계(錦溪)문집
금계황준량 발자취
금계문집 내집1권
금계문집 내집 2권
금계문집 내집 3권
금계문집 내집 4권
금계외집 1권 시
금계외집 2권 시
금계외집 3권 시
금계외집 4권 시
금계외집 5권 시
금계외집 6권 시
금계외집 7권 소
금계외집 8권제문
금계외집 9권부록
中觀黃在國
혜산중관서예집
중관뉴스모음
중관금혼서화집
중관2006년한묵집
칠곡녹봉정사준공
중관2018년서집
中觀黃在國현판
안동익양서당준공
세아그룹조각식물원
Ph.D.BI
금곡(錦谷)유묵집
다시 읽기
사랑을 노래하다
숲을 누비다
시대를 노래하다
천년의 소망
노래로 통하다
삼국유사재고 영상
한국문학회(文學會)
Hwang Hongseop
소수서원
소수(紹修)서원지
월란척촉회
황씨중앙종친회
중앙종친회카페
조순호소설 황준량
소고(嘯皐)문집
금계외집 1권 시 글답변
금계외집 1권 시 글답변
이름
필수
비밀번호
필수
이메일
홈페이지
옵션
HTML
제목
필수
내용
필수
웹에디터 시작
> > > 옥준 상인의 시권에 차운하다〔次玉峻上人詩卷〕 > > 화산에서 시 읊으니 얼굴에 부끄럼 일고 / 華山坐嘯媿生顔 > 오년 동안 부질없이 양쪽 귀밑털만 세었네 / 五載空添兩鬢斑 > 오히려 자랑스러운 건, 덤불 헤치고 승경 찾아 / 猶詑披榛尋勝境 > 여산폭포와 맞먹는 선주암 폭포 찾은 것이네 / 仙舟巖瀑倂廬山 > > 처음으로 선주암 폭포(仙舟巖瀑布)를 얻었는데, 명성이 우리나라에서 으뜸이기 때문에 일컬은 것이다. > > > 병중에 선사 만나 파안대소하였는데 / 病裏逢師已破顔 > 향 재료로 또 다시 자고반을 주었네 / 香材又贈鷓鴣斑 > 선사를 다시 만날 그 날을 알겠거니 / 重回碧眼知何日 > 벼슬 버리고 고향 가기로 결정한 때이리 / 已決焚魚返故山 > > [주-D001] 옥준 상인(玉峻上人) : 대구 동화사에 머물던 승려로 1537년에 농암 이현보의 영정을 그린 화승(畫僧)이기도 하다. > > [주-D002] 화산에서 …… 세었네 : 옥준 상인이 보내온 시편을 읽노라니 자신은 시작(詩作)에 진전이 없고 머리털만 세어 부끄럽다고 한 것이다. > > [주-D003] 선주암 폭포(仙舟巖瀑布) : 경상북도 경산시에 있는 폭포로 팔공팔경(八公八景) 중의 하나이다. > > [주-D004] 자고반(鷓鴣斑) : 자고새 가슴 털처럼 흰 반점이 박혀 있는 흑갈색의 향(香) 이름이다. > > [주-D005] 선사 : 원문의 벽안(碧眼)은 푸른 눈의 달마대사(達摩大師)를 벽안호승(碧眼胡僧)이라 호칭한 데서 온 말로, 훗날 고승(高僧)을 뜻하는 말로 주로 쓰였다. > >
웹 에디터 끝
링크 #1
링크 #2
파일 #1
파일 #2
자동등록방지
숫자음성듣기
새로고침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
취소
회사소개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모바일버전
회사명 (주)스피드레이저기술 주소 경기도 광명시 하안로 108 에이스광명타워 208호 사업자 등록번호 119-86-49539 대표 황병극 전화 02-808-3399 팩스 02-6442-7601
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