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계외집 1권 시 글답변
본문 바로가기
회원가입
로그인
메인메뉴
전체메뉴열기
대동보열람
대동보자료실
하위분류
등재신청서 자료실
편찬위원회 회의록
신청서접수관리
등재신청서검교공
등재신청서문절공
등재신청서충경공
등재신청서미분류
검교공파룸
하위분류
검교공파기준족보
검교공파사진첩
금계선생학술회
정도전&황준량포럼
선비포럼 삼봉&금계
정도전&금계학술회
녹봉정사 학술회
KBS문화유산 금계
금계선생 변무록
월란척촉회
문절공파룸
하위분류
평해황당상관록
문절공파기준족보
문절공파사진첩
해월동명 학술회
충경공파룸
하위분류
족보용어사전
충경공파기준족보
충경공파사진첩
평해군황희석
삼판서 古宅
하위분류
평해황씨 황유정
정도전재조명
봉화정씨 정운경
삼판서 학술자료
평해황 세거700년
욱양서원 복원자료
MBC선을넘는녀석
무송헌 김담문집
선성(예안)김씨 김담
고택후손 황영회
금계(錦溪)문집
하위분류
금계황준량 발자취
금계문집 내집1권
금계문집 내집 2권
금계문집 내집 3권
금계문집 내집 4권
금계외집 1권 시
금계외집 2권 시
금계외집 3권 시
금계외집 4권 시
금계외집 5권 시
금계외집 6권 시
금계외집 7권 소
금계외집 8권제문
금계외집 9권부록
中觀黃在國
하위분류
혜산중관서예집
중관뉴스모음
중관금혼서화집
중관2006년한묵집
칠곡녹봉정사준공
중관2018년서집
中觀黃在國현판
안동익양서당준공
세아그룹조각식물원
Ph.D.BI
하위분류
금곡(錦谷)유묵집
다시 읽기
사랑을 노래하다
숲을 누비다
시대를 노래하다
천년의 소망
노래로 통하다
삼국유사재고 영상
한국문학회(文學會)
Hwang Hongseop
소수서원
하위분류
소수(紹修)서원지
월란척촉회
황씨중앙종친회
중앙종친회카페
조순호소설 황준량
소고(嘯皐)문집
전체메뉴
대동보열람
대동보자료실
등재신청서 자료실
편찬위원회 회의록
신청서접수관리
등재신청서검교공
등재신청서문절공
등재신청서충경공
등재신청서미분류
검교공파룸
검교공파기준족보
검교공파사진첩
금계선생학술회
정도전&황준량포럼
선비포럼 삼봉&금계
정도전&금계학술회
녹봉정사 학술회
KBS문화유산 금계
금계선생 변무록
월란척촉회
문절공파룸
평해황당상관록
문절공파기준족보
문절공파사진첩
해월동명 학술회
충경공파룸
족보용어사전
충경공파기준족보
충경공파사진첩
평해군황희석
삼판서 古宅
평해황씨 황유정
정도전재조명
봉화정씨 정운경
삼판서 학술자료
평해황 세거700년
욱양서원 복원자료
MBC선을넘는녀석
무송헌 김담문집
선성(예안)김씨 김담
고택후손 황영회
금계(錦溪)문집
금계황준량 발자취
금계문집 내집1권
금계문집 내집 2권
금계문집 내집 3권
금계문집 내집 4권
금계외집 1권 시
금계외집 2권 시
금계외집 3권 시
금계외집 4권 시
금계외집 5권 시
금계외집 6권 시
금계외집 7권 소
금계외집 8권제문
금계외집 9권부록
中觀黃在國
혜산중관서예집
중관뉴스모음
중관금혼서화집
중관2006년한묵집
칠곡녹봉정사준공
중관2018년서집
中觀黃在國현판
안동익양서당준공
세아그룹조각식물원
Ph.D.BI
금곡(錦谷)유묵집
다시 읽기
사랑을 노래하다
숲을 누비다
시대를 노래하다
천년의 소망
노래로 통하다
삼국유사재고 영상
한국문학회(文學會)
Hwang Hongseop
소수서원
소수(紹修)서원지
월란척촉회
황씨중앙종친회
중앙종친회카페
조순호소설 황준량
소고(嘯皐)문집
금계외집 1권 시 글답변
금계외집 1권 시 글답변
이름
필수
비밀번호
필수
이메일
홈페이지
옵션
HTML
제목
필수
내용
필수
웹에디터 시작
> > > 안생 경록의 〈풍월정〉 시에 차운하다〔次安生景祿風月亭〕 > > 오래도록 산간처럼 수령 되어 / 久忝山翁宰 > 습씨 집을 빈번하게 놀러갔지 / 頻遊習氏居 > 버들은 도령 집을 감췄고 / 柳藏陶令宅 > 동산은 사공 집을 빙둘렀네 / 山遶謝公廬 > 더울 때도 가을처럼 시원하고 / 當暑秋風爽 > 밤새도록 밝은 달이 비치네 / 通宵霽月虛 > 눈앞에 속된 사물 없으리니 / 眼前無俗物 > 높이 누워 삼여에 공부하겠지 / 高臥學三餘 > > 또〔又〕 > > 산과 시내 대대로 전해져 / 溪山傳世地 > 풍월정에 친구가 산다네 / 風月故人居 > 원룡처럼 산수에 누웠으니 / 已作元龍臥 > 특별히 중울의 집 아니라네 / 殊非仲蔚廬 > 금서 소리 책상에 가득하고 / 琴書聲滿榻 > 송죽 소리 허공에 생겨나네 / 松竹響生虛 > 구사하는 시봉이 있어 / 驅使詩鋒在 > 천지가 취향으로 들겠지 / 乾坤入醉餘 > > [주-D001] 오래도록 …… 놀러갔지 : 진나라 죽림칠현(竹林七賢)의 한 사람인 산간(山簡)이 정남장군(征南將軍)으로 양양(襄陽)에 있을 때, 이 지방의 호족이었던 습욱(習郁)의 집에 노닐면서 습씨의 연못을 습가지(習家池), 고양지(高陽池)라 이름하고, 날마다 그곳으로 가서 노닐며 흠뻑 취해 돌아갔다고 한다. 《晉書 卷43 山簡列傳》 여기서는 안경록이 경치 좋은 곳을 두루 유람하였음을 비유한 말이다. > > [주-D002] 도령(陶令) : 동진(東晉) 때에 팽택 영(彭澤令)을 지낸 도잠(陶潛)으로 〈귀거래사〉를 짓고 집으로 돌아온 뒤 집 주위에 다섯 그루 버드나무를 심고 〈오류선생전(五柳先生傳)〉을 지었다. 여기서는 안경록을 가리키는 말로 쓰였다. > > [주-D003] 사공(謝公) : 진(晉)나라 사안(謝安)을 말한다. 그는 일찍이 벼슬을 사양하고 동산에 은거하다가 40세가 넘어서야 벼슬길에 나갔다. 이 역시 안경록을 가리키는 말로 쓰였다. > > [주-D004] 삼여(三餘) : 한 해의 나머지〔歲之餘〕인 겨울과 하루의 나머지〔日之餘〕인 밤과 때의 나머지〔時之餘〕인 장마철을 가리킨다. 삼국 시대 위(魏)나라 동우(董遇)가 한 말에서 비롯되었다. 《三國志 卷63 魏書 王肅傳》 > > [주-D005] 원룡(元龍) : 한말(漢末) 진등(陳登)의 자이다. 많은 서적을 박람하여 문예(文藝)가 있었으며 문무를 겸전하고 지략이 있어 당시에 명사로 불렸는데, 39세의 젊은 나이로 죽었다. 《三國志 卷7 魏書7 陳登傳》 > > [주-D006] 중울(仲蔚) : 후한(後漢)의 은자(隱者) 장중울(張仲蔚)을 말한다. 박학다식하고 시문을 잘 지었는데, 일체 출입을 하지 않아 쑥대가 사람 키를 넘을 정도였다고 한다. ‘중울봉호(仲蔚蓬蒿)’라는 《몽구(蒙求)》의 표제(標題)가 전한다. 《高士傳中張仲蔚》 > > [주-D007] 시봉(詩鋒) : 시의 예봉, 곧 날카로운 칼날처럼 시를 잘 지음을 말한다. > >
웹 에디터 끝
링크 #1
링크 #2
파일 #1
파일 #2
자동등록방지
숫자음성듣기
새로고침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
취소
회사소개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모바일버전
회사명 (주)스피드레이저기술 주소 경기도 광명시 하안로 108 에이스광명타워 208호 사업자 등록번호 119-86-49539 대표 황병극 전화 02-808-3399 팩스 02-6442-7601
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