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문〔祭文〕 이황(李滉) [이황(李滉)] > 금계외집 9권부록

본문 바로가기

서브이미지

제문〔祭文〕 이황(李滉) [이황(李滉)] > 금계외집 9권부록

제문〔祭文〕 이황(李滉) [이황(李滉)]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158회 작성일 21-07-28 13:51

본문

제문〔祭文〕 이황(李滉) [이황(李滉)]

아 슬프도다 / 嗚呼哀哉
공이 세상에 태어난 지 사십칠 년인데 / 公生世之卌七兮
계산해 보니 벼슬한 날이 절반이었네 / 計中半兮仕之日
성품은 자상하고 화락하며 / 性慈祥而愷悌兮
재주는 민첩하고 빼어났네 / 才驄敏而超絶
문장은 관각에 선임되기 알맞고 / 文中選於館閣兮
학문은 경악에 충원되기 적합했네 / 學合充於經幄
군수의 직임을 받고 일을 논하니 / 受郡寄而論事兮
임금을 감동시켜 덕택이 미치도록 했고 / 感天衷而流澤
인재를 양성하며 문사를 날리니 / 應儲養而摛藻兮
문형을 격동시켜 의논을 펼쳤네 / 激文衡而議擢
어찌 겨우 상대에서 시험했는데 / 胡僅試於霜臺兮
벌써 참소하는 사람에게 미움을 받았고 / 已讒人之售嫉
이어서 문한에 처했는데 / 續將處以文翰兮
또 함께 진출한 사람들이 이간하며 저지했네 / 又同進之間尼
내직에 있은 지 얼마 되지 않아 / 致內席之不暖兮
외직의 관인을 오래 매달아 / 而外符之長懸
고을을 다스려 은혜를 베풀도록 했지만 / 俾大惠而不咸兮
한 고을을 다스리고 마쳤네 / 終一州之所專
예로부터 이같은 사람 한 둘이 아니었지만 / 自古若此者非一兮
공에게 더욱 장애가 많았음이 괴이하였네 / 在公尤怪於多掣
이는 실로 운명에 연계된 것이니 / 玆實係於命途兮
어찌 공의 몸에 흠이 있어서였으랴 / 豈公身之玷缺
비록 벗들이 슬퍼하고 탄식했지만 / 縱朋友之嗟惜兮
공의 마음은 노여워하거나 근심하지 않았네 / 非公心之慍悒
오직 하찮은 내가 공을 보기에는 / 惟淺劣之視公兮
또 보통으로 사귄 사이가 아니었네 / 又非尋常之契托
공을 처음 알게 되었을 때를 돌아보면 / 憶識公之初載兮
문아와 풍채를 기뻐하였고 / 欣文雅與風采
농암의 높은 의를 감복했는데 / 服聾巖之高義兮
연속되는 세월은 여러 차례 바뀌었네 / 綿歲月之屢改
내 뜻이 만년에 무너짐을 걱정하였는데 / 惕余志之晩頹兮
공의 학문은 중년에 깨달음이 가상하여 / 嘉公學之中悟
가지와 잎이 점점 쳐내고 / 謂枝葉之漸刊兮
본원으로 거슬러 올라갈 만했다네 / 羌本源之可泝
단양 군수로 재직할 때 좋은 경지로 들어갔고 / 當在丹而入蔗境兮
기쁨을 느껴 포부가 컸었네 / 覺憙憙而嘐嘐
성주 목사로 왔을 때는 / 逮來莅於星山兮
더욱 마음을 가다듬어 경솔하지 않았으니 / 益勵心以不佻
각고하여 스스로 기약하지 않았겠는가 / 何刻苦以自期兮
벼슬과 학문을 모두 넉넉히 할 것을 / 擬仕學其兩優
운곡의 서언을 얻어 / 得雲谷之緖言兮
입이 고깃국을 좋아하듯 했지요 / 猶悅口之豢蒭
진실로 선창하지 않으면 화답하지 않으니 / 信靡昌而不和兮
마침 함께 좋아하는 사람들이 글방에 있었지요 / 適同好之在黌
진실로 벗이 모여 강습함을 함께 즐겼으니 / 誠共樂於麗澤兮
많은 선비들이 호응하였소 / 藹多士之同聲
밤낮을 다하여 게을리하지 않고 / 窮晝夜以不倦兮
정미함을 연마하고 이치를 분석했지요 / 極硏精於析理
때로는 간찰을 보내어 / 時簡札之翩翩兮
마음을 비우고 나에게 자문했지요 / 辱詢蕘而虛己
더구나 주번이 당도하자 / 矧朱轓之戾止兮
반가운 모습으로 맞아하여 마음을 터 놓고 / 接英眄而款叩
가을 강에 배를 띄우고 시를 읊으며 / 泛秋江以詠詩兮
저물녘 누대에 올라 술잔을 기울였네 / 登晩臺而觴酒
관직을 지키느라 얽매인 것이 안타깝지만 / 恨拘牽於官守兮
장부를 처리하느라 세월을 보냈으니 어찌하랴 / 奈簿領之消磨
이 즐거움을 온전히 하려고 생각했다면 / 思得全夫此樂兮
어찌 돌아와서 노닐지 않았던가 / 盍歸來乎婆娑
죽령 푸른 봉우리를 돌아보고 / 睠竹嶺之蒼峭兮
금수의 맑은 물을 사랑하며 / 憐錦水之汩㶁
아스라이 세 지름길 열고 / 開三徑兮縹緲
한적한 곳에 한 집을 지으려 하였네 / 闢一室兮岑寂
뜻이 같은 사람들과 난초 향기를 마시고 / 挹蘭馨於同人兮
고서에서 거문고의 운치를 다스리며 / 理琴韻於古書
고명을 완색하며 정묘함에 들어가고 / 玩高明而入妙兮
조용히 수양에 힘써 초지를 회복하였네 / 勵靜修而復初
임천을 따라 소원을 마치려고 / 從林泉以畢願兮
세상길에서 혼탁함을 끊었네 / 絶溷濁於世途
이런 뜻을 품음이 참으로 괴로워 / 抱斯志之良苦兮
만사가 많이 어긋남을 어찌하랴 / 奚萬事之多舛
갑자기 배사에 유감이 있었는데 / 忽有感於杯蛇兮
서적에 구애되어 힘을 썼네 / 礙簡書而黽勉
어찌 알았으랴 위독한 지경에 이를 줄을 / 安知夫遂至於沈篤兮
그런데도 스스로의 힘으로 길에 나아가 / 猶自力以就路
고향바라보기 하룻밤을 사이에 두고 / 望鄕閭以隔宿兮
갑자기 아침 이슬처럼 먼저 사라졌도다 / 溘先晞於朝露
자친의 봉양을 길이 어김이 애통하고 / 痛慈養之永違兮
본디 숭상함을 끝내 등짐도 애달프네 / 哀素尙之終負
뒷일을 양아들에게 부탁하고 / 托後事於過房兮
학문의 진결은 못난 벗인 나에게 남겼네 / 留學訣於損友
선한 사람에게 복을 준다는 이치가 어찌 아득하며 / 理何茫於福善兮
어진 사람이 장수한다는 하늘이 어찌 잘못되었나 / 天何謬於仁壽
아름답도다 그대가 의를 급선무로 여겨 / 懿夫君之急義兮
궁핍한 사람을 구제함에 미치지 못하듯이 하여 / 濟窮乏兮如不及
집안은 사방이 벽만 쓸쓸했으니 / 家四壁之蕭然兮
어찌 남들이 헐뜯음과 같았으랴 / 豈如人之唇舌
더구나 도를 향함이 참으로 독실하여 / 矧嚮道之誠篤兮
죽을 힘을 다하여 이익을 위하지 않았음이랴 / 竭死力而非爲利
오늘을 근거로 앞일을 헤아리니 / 執今日以忖前兮
어찌 남들이 비난하는 의논과 같으리 / 寧若人之訾議
허무를 날조하여 백성의 뼈를 녹임은 / 指虛無以銷骨兮
모두가 원한에서 나온 것임을 알았으니 / 知盡出於怨隙
세상에 어찌 탄환 그치게 하는 구덩이가 없으랴 / 世豈無止丸之歐臾兮
공정한 도리를 붓 가는 데로 부쳤을 뿐이네 / 付公道於信筆
공이 무덤으로 나아가는데 / 屬公之卽於玄宅兮
정말로 추위가 매섭구려 / 正寒威之酷烈
늙고 병듦이 두려워 움츠러들어 / 畏老病而瑟縮兮
달려가 상여줄을 잡을 수가 없네 / 莫由趨於執紼
분의를 헤아려보면 크게 어긋나 / 揆分義而太乖兮
고인에게 매우 부끄럽네 / 愧古人而深恧
담박한 제물을 보내 조카를 대신 시켜 / 遣薄奠而代姪兮
예전 일을 서술하며 피눈물 뿌리니 / 敍疇曩以瀝血
신령한 영혼이 지각이 있으면 / 英靈兮有知
마음을 살피리니 / 庶鑑兮心曲
아 슬프도다 흠향하시라 / 嗚呼哀哉 尙饗

[주-D001] 배사(杯蛇)에 유감이 있었는데 : 술잔 속의 뱀으로, 쓸데없이 걱정하여 괴로워함을 말한다. 진(晉)나라 악광(樂廣)이 친구와 술을 마실 때 그 친구가 잔 속에 비친 뱀의 그림자를 보고 마음이 섬뜩하여 그로 인해 병들었다가, 나중에 그 뱀의 그림자가 벽에 걸린 활의 그림자임을 안 후 병이 절로 나았다 한다. 《晉書 卷43 樂廣列傳》

[주-D002] 선한 …… 아득하며 : 선한 사람이 복을 받지 못한다는 말이다. 《서경》 〈탕고(湯誥)〉에 “선하면 복을 주고 악하면 화를 내리는 것이 하늘의 도이다.〔天道福善禍淫〕”라고 하였다.

[주-D003] 어진 …… 잘못되었나 : 어진 사람이 장수를 누리지 못한다는 말이다. 《논어》 〈옹야(雍也)〉에 “인을 행하는 자는 산을 좋아하고 고요하며 오래 산다.〔仁者樂山 仁者靜 仁者壽〕”라고 하였다.

[주-D004] 탄환 …… 없으랴 : 세상을 안정시킬 인물이 있을 것이란 말이다. 《순자(荀子)》 〈대략(大略)〉에 “구르는 탄환은 구유에서 그치고 떠도는 말은 지혜로운 사람에게서 그친다.〔流丸止於甌臾 流言止於智者〕”라는 구절이 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사명 (주)스피드레이저기술 주소 경기도 광명시 하안로 108 에이스광명타워 208호 사업자 등록번호 119-86-49539 대표 황병극 전화 02-808-3399 팩스 02-6442-7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