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뢰에서 구두로 불러 짓다〔上瀨口點〕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341회 작성일 21-07-28 07:29본문
금계집 외집 제5권 / 시(詩)
상뢰에서 구두로 불러 짓다〔上瀨口點〕
벼랑 따라 닻줄 끌고 놀란 여울 거슬러가니 / 緣崖牽纜泝驚灘
조금씩 오르려니 걸음마다 어렵구나 / 分寸躋攀步步難
처음 흐름을 탈적에 쏜살같음을 기뻐했더니 / 始喜乘流如捨矢
여울 오를 제 등산보다 심할 줄 어찌 알았으랴 / 那知上瀨劇登山
물결이 이리 바위 부딪칠 땐 강 하늘 어둡고 / 衝波狼石江天暗
바다가 우레 같은 여울 말아 쥘 땐 한낮이 차갑네 / 捲海雷湍白日寒
눈으로 보자 도 있으니 가까운데서 취하여 / 目擊道存須近取
공정을 옮겨 향하면 덕에 나아가 닦음을 보리 / 功程移向進修看
[주-D001] 눈으로 …… 있으니 : 눈으로 보자마자 도(道)가 있다는 것은, 자로(子路)가 일찍이 공자(孔子)에게 말하기를 “선생님께서는 온백설자(溫伯雪子)를 만나고자 하신 지 오래였는데, 만나고 나서는 아무 말씀이 없으시니 무슨 까닭입니까?”라고 하자, 공자가 이르기를 “그런 사람은 한 번만 보아도 도가 있는 줄을 알 수 있으니, 또한 말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若夫人者 目擊而道存矣 亦不可以容聲矣〕”라고 했다는 데서 온 말이다. 《莊子 田子方》
상뢰에서 구두로 불러 짓다〔上瀨口點〕
벼랑 따라 닻줄 끌고 놀란 여울 거슬러가니 / 緣崖牽纜泝驚灘
조금씩 오르려니 걸음마다 어렵구나 / 分寸躋攀步步難
처음 흐름을 탈적에 쏜살같음을 기뻐했더니 / 始喜乘流如捨矢
여울 오를 제 등산보다 심할 줄 어찌 알았으랴 / 那知上瀨劇登山
물결이 이리 바위 부딪칠 땐 강 하늘 어둡고 / 衝波狼石江天暗
바다가 우레 같은 여울 말아 쥘 땐 한낮이 차갑네 / 捲海雷湍白日寒
눈으로 보자 도 있으니 가까운데서 취하여 / 目擊道存須近取
공정을 옮겨 향하면 덕에 나아가 닦음을 보리 / 功程移向進修看
[주-D001] 눈으로 …… 있으니 : 눈으로 보자마자 도(道)가 있다는 것은, 자로(子路)가 일찍이 공자(孔子)에게 말하기를 “선생님께서는 온백설자(溫伯雪子)를 만나고자 하신 지 오래였는데, 만나고 나서는 아무 말씀이 없으시니 무슨 까닭입니까?”라고 하자, 공자가 이르기를 “그런 사람은 한 번만 보아도 도가 있는 줄을 알 수 있으니, 또한 말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若夫人者 目擊而道存矣 亦不可以容聲矣〕”라고 했다는 데서 온 말이다. 《莊子 田子方》
- 이전글평해로 형을 만나러 가는 김상사 명원을 전송하다〔送金上舍命元之平海省兄〕 21.07.28
- 다음글한ㆍ이ㆍ배ㆍ윤 제공이 도담삼봉에서 노닐며 지은 시에 차운하다〔韓李裵尹諸公遊三島韻〕 21.07.28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