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생원의 어머니 조씨에 대한 만사 3수 〔金生員母曺氏挽 三首〕 > 금계외집 5권 시

본문 바로가기

서브이미지

김 생원의 어머니 조씨에 대한 만사 3수 〔金生員母曺氏挽 三首〕 > 금계외집 5권 시

김 생원의 어머니 조씨에 대한 만사 3수 〔金生員母曺氏挽 三首〕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468회 작성일 21-07-28 06:39

본문

금계집 외집 제5권 / 시(詩)


김 생원의 어머니 조씨에 대한 만사 3수 〔金生員母曺氏挽 三首〕

어른의 재주 태사에 견줄 만하고 / 翁才比太師
부인의 덕은 주시를 이었네 / 婦德繼周詩
상국의 벼슬살이 일찍이 현달했으니 / 相國官曾顯
부인의 작질도 어찌 낮으리오 / 夫人秩豈卑
외로운 난새 깊이 시름 품었으니 / 孤鸞深抱怨
쌍봉은 아직 높이 날지 않았네 / 雙鳳未高飛
한 번 천대에 밤이 닫기니 / 一閉泉臺夜
빈산에 학이 구슬피 조문하네 / 空山鶴弔悲


고운 오얏꽃 명망 있는 집안에서 / 穠李名門望
어여쁜 복사꽃 읊으며 시집왔네 / 夭桃詠于歸
집안 살림하는 데에 법도 있으니 / 宜家元有則
안주인 살림살이 본디 그릇됨이 없네 / 主饋本無非
훤당의 즐거움을 받들려 했더니 / 擬奉萱堂樂
잠깐 월전의 광휘가 잠겼네 / 俄淪月殿輝
술잔에 구택이 남았으니 / 杯棬餘口澤
누가 극인의 슬픔을 위로해 줄까 / 誰慰棘人悲


높은 가문 명망 있는 문벌 / 高門名望閥
아름다운 덕행은 그윽한 정절에 맞았네 / 令德協幽貞
영화는 금장을 찬 나그네와 배합할 만하고 / 榮配金章客
광명은 보배로운 나무가 뜰에 생길 만하네 / 光生寶樹庭
외로운 난새 몇 날이나 슬퍼했던가 / 孤鸞悲幾日
백 세의 오랜 수명을 아꼈네 / 百歲靳遐齡
좋은 평판 남아 있음을 의지하여 / 賴有徽音在
장림에게 좋은 비명을 새기게 하네 / 張林勒好銘

[주-D001] 주시(周詩) : 《시경》 〈관저(關雎)〉에 “자웅이 서로 화락하게 우는 물새는 하수 가에 있도다. 얌전한 숙녀는 군자의 좋은 짝이로다.〔關關雎鳩 在河之洲 窈窕淑女 君子好逑〕”라고 하였는데, 이 시는 금슬 좋은 문왕(文王)과 후비(后妃)의 성덕(聖德)을 노래한 것인데, 부부의 도가 행해지면 천하가 다 아름답게 교화됨을 칭송한 노래이다.

[주-D002] 부인의 작질(爵秩) : 조선 시대에 부인의 작질은 남편의 품계(品階)가 높아짐에 따라 부인도 같이 올라갔다.

[주-D003] 천대(泉臺) : 천하(泉下), 천양(泉壤)과 같은 말로 무덤을 뜻한다.

[주-D004] 학이 구슬피 조문하네 : 조씨가 이 세상을 영원히 떠나자 사람들이 이를 애도하며 슬퍼하였다는 뜻이다. 진(晉)나라의 도간(陶侃)이 모친상을 당해 묘소에 있을 적에 두 사람이 찾아와서 조문(弔問)하고 갔는데, 범상한 인물이 아니라고 생각한 도간이 그 뒤를 따라가 보니 두 마리의 학으로 변해 공중으로 사라졌다는 학조(鶴弔)의 전설이 전한다. 《晉書 卷66 陶侃列傳》

[주-D005] 어여쁜 …… 시집왔네 : 〈도요(桃夭)〉는《시경》 〈주남(周南)〉의 편명이다. 그 시에 “싱싱한 복숭아나무, 꽃이 활짝 피었도다. 그녀 시집감이여, 집안 살림 잘 하리라.〔桃之夭夭 灼灼其華 之子于歸 宜其室家〕”라고 하였는데, 시기를 놓치지 않고 시집가는 여인을 읊은 시인데, 여기서는 바로 혼인의 뜻으로 쓰였다. 우귀(于歸)는 신부가 처음 시집으로 오는 것이다.

[주-D006] 안주인 살림살이 : 음식을 주관한다는 것은 곧 부인의 직무를 가리킨다. 《주역》 〈가인괘(家人卦)〉에 “육이는 이루는 바가 없고 안에 있으면서 음식을 장만하면 정하여 길하리라.〔六二 無攸遂 在中饋 貞吉〕”라고 한 데서 온 말인데, 이는 곧 부인의 도리는 오직 집안에서 음식 장만하고 제사 받드는 일만을 주관할 뿐이라는 뜻이다.

[주-D007] 훤당(萱堂) : 남의 어머니를 칭하는 말로 쓰인다. 훤(萱)은 원추리라는 풀 이름인데 이것을 집 뒤에 심으면 근심을 잊는다 한다. 《시경》 〈백혜(伯兮)〉에 “어이하면 훤초(諼草)를 얻어 집 뒤에 심을까.”라고 하였는데, 훤초는 곧 원추리이다.

[주-D008] 월전(月殿) : 달에 있는 궁전으로 월궁(月宮)과 같다. 선녀 항아(姮娥)가 이곳에 산다고 한다. 여기서는 조씨가 거처하던 집을 말한다.

[주-D009] 술잔에 구택(口澤) : 원문의 배권(杯棬)은 음식 그릇을 말한다. 음식 그릇은 부인(婦人)에게 해당하므로, 즉 죽은 어머니를 생각하니 마음이 슬프다는 뜻이다. 《예기(禮記)》 〈옥조(玉藻)〉에 “어머니가 남긴 잔이나 그릇으로 차마 마시지 못하는 것은 입 기운이 아직도 남아 있기 때문이다.〔杯圈不能飮焉 口澤之氣存焉爾〕”라고 하였다.

[주-D010] 극인(棘人) : 몹시 큰 슬픔에 빠져 있는 사람으로, 흔히 부모의 상을 당한 사람을 가리키는 말로 쓰인다. 《시경》 〈소관(素冠)〉에 “행여나 보았던가, 흰 관을 쓴 상주의 파리한 얼굴을.〔庶見素冠兮 棘人欒欒兮〕”라고 한 데서 온 말로, 즉 인심이 박절해져서 부모를 위해 삼년상 입는 것을 길다고 없애 버린 세태를 풍자하여 부른 노래이다.

[주-D011] 금장(金章) : 금으로 된 관인(官印)과 옥으로 만든 부절(符節)로, 고관대작을 뜻하는 말이다. 여기서는 고관을 역임한 김생원의 선친을 가르킨다.

[주-D012] 보배로운 나무 : 훌륭한 자손을 두었다는 뜻이다. 진(晉)나라 때 사현(謝玄)이 숙부인 사안(謝安)의 질문을 받고 대답하기를 “비유하자면, 지초(芝草)나 난초(蘭草) 또는 좋은 나무를 집 앞 계단이나 뜰에 심고자 하는 것처럼 그런 귀염을 받는 인물이 되고 싶습니다.”라고 한 데서 나온 말이다. 《世說新語 語言》

[주-D013] 좋은 평판 : 《시경》 〈사제(思齊)〉에 주 문왕(周文王)의 부인인 태사(太姒)의 덕을 노래하면서 “시어머니인 태임(太任)의 미덕을 태사가 이어받았나니, 낳은 아들이 무려 백 명이나 되도다.〔太姒嗣徽音 則百斯男〕”라는 말이 나온다. 여기서는 조씨의 아름다운 덕행과 언어를 뜻한다.

[주-D014] 장림(張林)에게 …… 하네 : 장림은 당(唐)나라 때에 한림학사(翰林學士)를 지낸 장열(張說)을 가리킨다. 그는 뒤에 벼슬이 중서령(中書令)에 이르렀고, 문장(文章)은 당시에 으뜸이었는데, 그중에도 비문(碑文)에 특히 뛰어났다고 한다. 《舊唐書 卷97 張說列傳》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사명 (주)스피드레이저기술 주소 경기도 광명시 하안로 108 에이스광명타워 208호 사업자 등록번호 119-86-49539 대표 황병극 전화 02-808-3399 팩스 02-6442-7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