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화헌 시에 차운하다 4수 〔次百花軒 四首〕 > 금계외집 4권 시

본문 바로가기

서브이미지

백화헌 시에 차운하다 4수 〔次百花軒 四首〕 > 금계외집 4권 시

백화헌 시에 차운하다 4수 〔次百花軒 四首〕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331회 작성일 21-07-28 00:19

본문

금계집 외집 제4권 / 시(詩)


백화헌 시에 차운하다 4수 〔次百花軒 四首〕

온갖 꽃 나부껴 떨어지자 향기가 흩어지는데 / 百花飄盡散香塵
송죽은 추녀에 닿아 푸르름이 하늘에 비치네 / 松竹當軒翠映旻
바람과 안개의 부림을 받아 시흥이 일어나고 / 驅使風煙詩興動
아름다운 경치 사라지자 귀밑털이 새로워지네 / 消磨光景鬢毛新
누가 일을 마쳤다고 어리석은 사람을 기롱하는가 / 誰將了事譏癡漢
분우에 효과 없어 신하는 부끄러울 뿐인데 / 未效分憂愧使臣
홀로 하늘가에 누우니 만물의 변화가 놀라워 / 獨臥天涯驚物候
꿈속에서 대궐로 달려가 임금님께 절하였네 / 夢趨金闕拜楓宸


십 년 만에 시내며 산이 눈에 들어 푸른데 / 十載溪山入眼靑
옛 유람 꿈과 같아 생각은 아득하기만 하네 / 舊遊如夢思冥冥
시리고 찬 기미에 풍환의 칼 퉁기다가 / 酸寒氣味彈馮鋏
질탕한 풍류로 비단 병풍에서 취하네 / 跌宕風流醉錦屛
꽃 흐드러진 봄 헌에서 채필을 울리고 / 花爛春軒鳴綵筆
단풍 흐르는 가을 골짝에서 은병을 기울였지 / 紅流秋洞瀉銀甁
젊은 시절 나그네의 흥취 지금은 쇠락하여 / 少年客興今寥落
상자 속 이끼 낀 글이 푸른 부평초에 잠식되네 / 匣裏苔文蝕綠萍

일찍이 성주의 학생들을 가르쳤기 때문에 이렇게 말한 것이다.


경산은 웅려하기가 남쪽 고을에서 으뜸인데 / 京山雄麗擅南州
높은 기둥과 층층의 추녀는 몇 년을 보냈을까 / 高棟層軒老幾秋
신선 산에서 소매 걷어 옛 은자를 그리워하고 / 拂袖仙山懷舊隱
어두운 임금의 옷자락 끌고 전현에게 읍하셨지 / 牽裾昏主揖前修
붉은 충성심에 티끌만큼의 도움을 바쳤으니 / 丹誠庶效涓埃補
평소의 뜻에 어찌 따뜻하고 배부름을 도모하랴 / 素志寧爲溫飽謀
가는 곳마다 봄경치가 바다처럼 넓게 펼쳐져 / 隨處韶華寬似海
빠듯한 일정에도 오히려 맑은 유람이 넉넉하네 / 嚴程猶足做淸遊


꾀꼬리 노래가 맑고 조화로워 한낮이 되려는데 / 鶯語淸和欲午天
주렴 가득 나는 버들 솜이 청춘을 보내는구나 / 一簾飛絮送芳年
구름은 대 잎을 싸고 있다가 술잔 위에 담그고 / 雲籠竹葉涵杯面
꽃은 화장한 항아를 모시고 춤 자리 둘렀네 / 花襯粧娥繞舞筵
신선의 산에 노을 일어 고운 기운이 비치고 / 霞起仙岑通縹氣
시골마을에 해 저물자 밥 짓는 연기 솟구치네 / 日曛村巷驀炊煙
누대 빼어난 곳에서는 취할 수가 있나니 / 樓臺勝處堪成醉
천년토록 근심하며 깨 있는 것이 꼭 현명한 건 아니리 / 千載騷醒未必賢

[주-D001] 백화헌(百花軒) : 고려 시대의 문신인 이조년(李兆年)의 호이자 당호이다. 그가 충렬왕을 보필하고 있을 때 충선왕 측근에 의해 모함을 받아 귀양을 갔다가 풀려나온 뒤 13년간 고향에서 은거할 때 지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주-D002] 분우(分憂) : 임금이 지방의 일을 근심하여 신하에게 지방을 맡겨서 근심을 나눈다는 뜻이다.

[주-D003] 풍환(馮驩)의 …… 튕기다가 : 전국 시대 풍환이 맹상군(孟甞君)의 식객(食客)으로 있을 때 대우가 좋지 못하여 몇 차례나 긴 칼〔長鋏〕을 퉁기면서 “장검이여 돌아가자, 밥상에 고기가 없으니.〔長鋏歸來乎 食無魚〕”라고 하였다. 《戰國策 齊策4》

[주-D004] 비단 병풍 : 실제 병풍이 아니라 병풍처럼 두른 산을 시적으로 나타낸 말이다.

[주-D005] 채필(綵筆) : 오색으로 채색된 붓이라는 뜻으로 아름답고 교묘한 문장 실력을 말한다. 강엄(江淹)이 야정(冶亭)에서 묵었는데, 꿈에 한 장부가 나타나 스스로 곽박(郭璞)이라고 칭하면서 강엄에게 이르기를 “내게 붓이 있었는데, 경(卿)한테 가있은 지가 오래되었으니 돌려주어야겠다.”라고 하므로, 강엄이 품속을 뒤져보니 과연 오색으로 된 붓이 나와서 그에게 주었는데, 그 후로는 시를 지어도 아름다운 구절이 없다는 말로 쓰였다. 《南史 卷59 江淹列傳》

[주-D006] 은병(銀甁) : 은으로 만든 두레박을 가리키나 여기서는 술병의 뜻으로 쓰였다.

[주-D007] 성주(星州)의 …… 가르쳤기 : 황준량은 24세 때인 1540년(중종35)에 성주(星州) 훈도(訓導)를 지낸 적이 있다.

[주-D008] 어두운 …… 읍하셨지 : 이조년(李兆年)이 충혜왕의 음탕함을 여러 번 간하였으나 받아들이지 않자 사직한 것을 두고 이른 말이다.

[주-D009] 화장한 항아(姮娥) : 달을 시적으로 표현한 말이다.

[주-D010] 근심하며 …… 것 : 원문 ‘소성(騷醒)’의 ‘騷’는 ‘이소(離騷)’라는 말에서처럼 근심한다는 뜻으로 쓰였지만 〈이소〉, 곧 초사(楚辭)나 이를 지은 굴원(屈原)의 뜻으로 보아도 무방하다. 굴원은 〈어부사(漁父辭)〉에서 “온 세상이 흐린데 나만 홀로 맑고, 뭇사람들은 모두 취했는데 나만 홀로 깨어 있다.”라고 하였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사명 (주)스피드레이저기술 주소 경기도 광명시 하안로 108 에이스광명타워 208호 사업자 등록번호 119-86-49539 대표 황병극 전화 02-808-3399 팩스 02-6442-7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