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경에 조회를 가는 한계언을 전송하며〔送韓啓彦朝燕〕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235회 작성일 21-07-27 09:03본문
연경에 조회를 가는 한계언을 전송하며〔送韓啓彦朝燕〕
남아로서 일찍이 원대한 뜻 저버리고 / 男兒早負桑蓬志
어찌하여 우물 안 개구리를 배우랴 / 肯學蛙潛井底天
배를 타고 사신 가서 은하수 거슬러가고 / 貫月星槎秋溸漢
바람 앞의 멋진 그대 연경 길 떠나네 / 臨風玉樹路經燕
주나라의 예악을 오나라 계찰처럼 보고 / 周家禮樂觀吳札
우 임금 유람한 산천을 사마천처럼 찾으리 / 禹迹山川訪史遷
만 리 길을 돌아올 땐 봄이 한창일 텐데 / 萬里歸來春浩蕩
비단 시주머니 전해주길 아까워하지 말게 / 錦囊休惜倩人傳
[주-D001] 원대한 뜻 : 상봉(桑蓬)은 뽕나무로 만든 활〔桑弧〕과 쑥대로 만든 화살〔蓬矢〕이다. 고대에 사내아이가 태어나면 뽕나무 활에 쑥대 화살을 메워서 천지 사방에 쏨으로써 장차 천하에 원대한 일을 할 것을 기대하였던 고사에서 유래한 말로, 천하를 경영하려는 남아의 큰 포부를 뜻한다. 《禮記 內則》
[주-D002] 배를 …… 거슬러가고 : 관월(貫月)은 요(堯) 임금 때 서해(西海)에 빛을 발하는 큰 뗏목 하나가 떠서, 마치 성월(星月)이 들어갔다 나왔다 하는 것 같았기에 항해의 뜻으로 쓰이고, 성사(星槎)는 사신이 타고 가는 배를 말한다.
[주-D003] 멋진 그대 : 옥수(玉樹)는 풍채가 준수한 사람을 뜻하는 말로, 옥으로 빚은 듯 준수한 풍모를 형용한 것이다. 두보(杜甫)의 〈음중팔선가(飮中八仙歌)〉에 “종지는 씻은 듯 맑은 풍모의 미소년이라, 환하기 마치 옥으로 된 나무가 바람 앞에 선 듯해라.〔宗之瀟洒美少年 皎如玉樹臨風前〕” 하였다. 《古文眞寶 前集》
[주-D004] 주(周)나라의 …… 보고 : 계찰(季札)은 춘추 시대 오(吳)나라 공자(公子)의 신분으로 열국(列國)에 사신으로 나가 풍속을 살폈는데, 노(魯)나라에서 주대(周代) 각국의 음악을 모두 듣고는 하나하나 적절하게 품평을 가했던 일화가 유명하다. 《史記 卷31 吳太伯世家》
[주-D005] 우(禹) 임금 …… 찾으리 : 우 임금은 순(舜) 임금으로부터 명을 받아 천하를 돌아다니면서 치수(治水)를 해 천하의 백성들을 편안하게 하였으며, 그 공을 인정받아 순 임금의 뒤를 이어 황제의 자리에 올랐다. 사마천(司馬遷)은 한 무제(漢武帝) 때의 사관(史官)으로 태사령(太史令)과 중서령(中書令)을 지냈으며 《사기(史記)》 130권을 저술하였다. 그는 유람을 좋아하여 젊은 시절에 남쪽으로는 강회(江淮) 지방을 두루 답사하고, 북쪽으로는 문수(汶水)와 사수(泗水)를 건너 제(齊)ㆍ노(魯) 지방을 지나 양(梁)ㆍ초(楚) 지방을 유람하였다고 한다. 《史記 卷130 太史公自序》
남아로서 일찍이 원대한 뜻 저버리고 / 男兒早負桑蓬志
어찌하여 우물 안 개구리를 배우랴 / 肯學蛙潛井底天
배를 타고 사신 가서 은하수 거슬러가고 / 貫月星槎秋溸漢
바람 앞의 멋진 그대 연경 길 떠나네 / 臨風玉樹路經燕
주나라의 예악을 오나라 계찰처럼 보고 / 周家禮樂觀吳札
우 임금 유람한 산천을 사마천처럼 찾으리 / 禹迹山川訪史遷
만 리 길을 돌아올 땐 봄이 한창일 텐데 / 萬里歸來春浩蕩
비단 시주머니 전해주길 아까워하지 말게 / 錦囊休惜倩人傳
[주-D001] 원대한 뜻 : 상봉(桑蓬)은 뽕나무로 만든 활〔桑弧〕과 쑥대로 만든 화살〔蓬矢〕이다. 고대에 사내아이가 태어나면 뽕나무 활에 쑥대 화살을 메워서 천지 사방에 쏨으로써 장차 천하에 원대한 일을 할 것을 기대하였던 고사에서 유래한 말로, 천하를 경영하려는 남아의 큰 포부를 뜻한다. 《禮記 內則》
[주-D002] 배를 …… 거슬러가고 : 관월(貫月)은 요(堯) 임금 때 서해(西海)에 빛을 발하는 큰 뗏목 하나가 떠서, 마치 성월(星月)이 들어갔다 나왔다 하는 것 같았기에 항해의 뜻으로 쓰이고, 성사(星槎)는 사신이 타고 가는 배를 말한다.
[주-D003] 멋진 그대 : 옥수(玉樹)는 풍채가 준수한 사람을 뜻하는 말로, 옥으로 빚은 듯 준수한 풍모를 형용한 것이다. 두보(杜甫)의 〈음중팔선가(飮中八仙歌)〉에 “종지는 씻은 듯 맑은 풍모의 미소년이라, 환하기 마치 옥으로 된 나무가 바람 앞에 선 듯해라.〔宗之瀟洒美少年 皎如玉樹臨風前〕” 하였다. 《古文眞寶 前集》
[주-D004] 주(周)나라의 …… 보고 : 계찰(季札)은 춘추 시대 오(吳)나라 공자(公子)의 신분으로 열국(列國)에 사신으로 나가 풍속을 살폈는데, 노(魯)나라에서 주대(周代) 각국의 음악을 모두 듣고는 하나하나 적절하게 품평을 가했던 일화가 유명하다. 《史記 卷31 吳太伯世家》
[주-D005] 우(禹) 임금 …… 찾으리 : 우 임금은 순(舜) 임금으로부터 명을 받아 천하를 돌아다니면서 치수(治水)를 해 천하의 백성들을 편안하게 하였으며, 그 공을 인정받아 순 임금의 뒤를 이어 황제의 자리에 올랐다. 사마천(司馬遷)은 한 무제(漢武帝) 때의 사관(史官)으로 태사령(太史令)과 중서령(中書令)을 지냈으며 《사기(史記)》 130권을 저술하였다. 그는 유람을 좋아하여 젊은 시절에 남쪽으로는 강회(江淮) 지방을 두루 답사하고, 북쪽으로는 문수(汶水)와 사수(泗水)를 건너 제(齊)ㆍ노(魯) 지방을 지나 양(梁)ㆍ초(楚) 지방을 유람하였다고 한다. 《史記 卷130 太史公自序》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