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해 황씨(平海黃氏) > 錦仙 선비자락 소식

본문 바로가기

서브이미지

평해 황씨(平海黃氏) > 錦仙 선비자락 소식

평해 황씨(平海黃氏)

페이지 정보

작성자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54회 작성일 24-11-28 22:47

본문


평해 황씨
平海黃氏
나라한국
관향경상북도 울진군 평해읍
시조황온인(黃溫仁)
중시조검교공 황진(黃璡), 문절공 황서(黃瑞), 충경공 황용(黃墉)
집성촌경상북도 문경시 산북면 우곡리
경상북도 청송군 청송읍 청운리
경상북도 울진군 평해읍 오곡리
경상북도 울진군 온정면 덕산리
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 산야리
함경북도 명천군 상우남면 고성리
전라북도 고창군
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읍 검단리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주요 인물황희석황선신황만영 황종률황필구황산덕황혜성황영시황대봉황병우황병태황윤기황종국황수관황병서황학수황영목황영기
인구(2015년)168,374명

평해 황씨(平海黃氏)는 경상북도 울진군 평해읍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1]

평해 황씨(平海 黃氏)는 고려 때 금오장군(金吾將軍) 태자검교(太子檢校)를 역임한 황온인(黃溫仁)을 1세조로 하여 세계를 이어오고 있다.[2]

한때 기성 황씨(箕城 黃氏)로 불리었으나, 후에 기성(箕城)이 평해(平海)로 바뀌면서 평해 황씨(平海 黃氏)로 불린다. 우리나라 황씨의 고향인 월송정이 바로 평해에 있다.

220px-%EC%9B%94%EC%86%A1%EC%A0%95-2-%EC%9A%B8%EC%A7%84%EA%B5%B0.jpg월송정

역사

[편집]

평해황씨는 고려 말~조선 초중기까지 가장 융성하였다.

고려에서 삼중대광 1명, 문하시중 2명으로 재상을 3명 배출하였다. 또한 조선에서는 3명의 공신이 있었다. 그러나 공신 책봉 횟수로 따지면 협찬창조공신, 위화도회군공신, 개국원종공신, 조선개국공신 2등, 선무훈이등공신으로 총 5번이 책봉되었다. 덕분에 조선에서 5명이 정승으로 추증되었다.

불행히도 가문의 족보는 임진왜란으로 완전히 소실되어 버렸다. 하지만 다행히도 1604년 선무훈이등공신(宣武勳二等功臣)이기도 했던, 당시 예천군수 문절공파 예빈공파 해월공 황여일(黃汝一)이 새로이 평해 황씨 족보인 평해황씨초간세보(平海黃氏草刊世譜) 간행하였다. 덕분에, 아직도 선조들의 관직, 배우자, 묘소의 위치 등을 비교적 상세히 알고 있다.

평해 황씨는 조선시대 급제자는 문과 22명, 무과 급제자 19명, 사마시 47명, 역과 2명을 배출하였다.[3]

주요 선조들

[편집]
  • 3세조 황유중(黃裕中)은 고려에서 최고 관직인 종1품 문하시중(조선의 정승/도제조, 현재의 총리)을 역임하였는데, 이분의 아들인 진, 서, 용으로부터 검교공파, 문절공파, 충경공파로 갈라졌다. 현재 존재하는 많은 파들은 모두 이 3파로 기본으로 한다. 충선왕 전까지는 고려 최고 관직이 정1품이 아닌 종1품이었다. 충선왕이 삼중대광을 만들어 정1품을 신설하였다.
  • 4세조 문절공 황서(黃瑞) 또한 고려에서 종1품 문하시중(조선의 정승/도제조, 현재의 총리)에 올라 다시 한 번 일인지상 만인천하의 자리에 올랐다. 원나라를 31번이나 다녀오며 이 공훈으로, 본관인 평해를 현에서 군으로 승격시키며 고려 후기 평해황씨를 명문가 반열에 올려 놓은 실질적인 평해 황씨의 부흥조이다. 문절공파의 시조이다. 문절공파에서는 조선에서 공신이 1명 나왔다.
  • 4세조 충경공 황용(黃墉)은 문절공 황서(黃瑞)의 동생으로, 고려의 정1품 삼중대광보국(고려 충선왕이 새로 만든 최고위 관직, 이전까지는 문하시중이 최고위 관직)에 올라 신하로써 오를 수 있는 최고의 위치에 올랐다. 충경공파의 시조이다. 충경공파에서는 조선에서 공신이 2명이 나왔고, 공신 책봉 횟수는 4번이다.
  • 7세조 충경공파 황천계(黃天繼)는 경기전라경상 삼도관찰사(京畿全羅慶尙 三道觀察使)였고, 조카인 8세조 황희석(黃希碩)과 함께 함경도 영흥에서부터 조선 태조 이성계를 보좌하기 시작하였다. 조선(朝鮮)이 개국하고 협찬창조공신(協贊剏造功臣)으로 책봉 되었다.
  • 8세조 충경공파 양무공 황희석(黃希碩)은 고려(高麗)에서 청주상만호(靑州上萬戶)였고, 삼촌 황천계(黃天繼)와 함께 이성계를 따르기 시작하여 위화도 회군까지 함께 하였다. 위화도회군공신(威化島回軍功臣), 개국원종공신(開國原從功臣), 태조 특지로 조선개국공신(朝鮮開國功臣) 2등에 책봉되어 총 3번 공신으로 책봉되었다. 지중추원사(知中樞院事), 문하시랑찬성사(門下侍郞贊成事)에 이르렀다. 사후 우의정(右議政)으로 추증되었다.
  • 8세조 검교공파 황유정(黃有定)은 호가 미균(米均)으로 한성판윤, 예조전서, 공조전서, 형조전서를 지낸 인물로 정도전의 여동생인 봉화 정씨와 혼인하였다. 정도전의 아버지인 정운경은 아들이 죽자, 사위인 황유정(黃有定)에게 영주의 삼판서고택을 물려주었다. 아들인 9세조 황현(黃鉉)은 태종과 세종 대에서 성균관 대제학과 대사성을 역임하였다.
  • 14세조 문절공파 예빈공파 해월공 황여일(黃汝一)은 임진왜란 때, 권율을 종사관으로 보좌하여 선무훈이등공신(宣武勳二等功臣)이 되었다. 후에 1604년 예천군수 때, 소실된 평해황씨 족보를 새로이 간행하였다. 다음은 평해황씨초간세보(平海黃氏草刊世譜)의 서문이다.

대대로 벼슬하던 우리 세족이 천민과 노예로 흘러 떨어지고 자손이 길가에서 만난 사람처럼 남보다도 더 멀어진 것을 눈으로 보게 되었으니 끝없이 통탄함이 여기에 이르렀다.[4][5]

주요 3분파(分派)

[편집]

1세 황온인(黃溫仁) : 고려(高麗), 금오장군(金吾將軍), 태자검교(太子檢校).
➝ 2세 황우정(黃佑精) : 고려(高麗), 군기소윤(軍器少尹).
➝ 3세 황유중(黃裕中) : 고려(高麗), 문하시중(門下侍中).

3세 황유중(黃裕中)의 세 아들인 4세조로부터 큰 3파로 나누어졌다.
즉, 첫째 황진의 '검교공파', 둘째 황서의 '문절공파' , 셋째 황용의 '충경공파'이다.

검교공파(檢校公派) : 황유중의 첫째인 4세 황진(黃璡)의 후손들

[편집]

검교공파(檢校公派)의 시조 : 황유중의 첫째인 4세 황진(黃璡), 고려(高麗) 검교군기감(檢校軍器監)
➝ 5세(지정, 서정)

[1] 5세 황지정(黃之挺) : 4세 황진의 첫째 아들.

[편집]

➝ 5세 황지정(黃之挺)  : 고려(高麗) 고종(高宗). 통덕랑(通德郞).
➝ 6세 황원로(黃原老) : 5세 황지정(黃之挺)의 외동아들. 고려(高麗). 사록(司錄), 참군(參軍), 영해부사(寧海府使).

➝ 7세 황근(黃瑾) : 6세 황원로의 넷째 아들. 고려(高麗) 공민왕(恭愍王) 우헌납(右獻納). 조선(朝鮮) 성균관사예(成均館司藝), 예문관직제학(藝文館直提學), 지제교(知製敎). 자헌대부(資憲大夫), 한성좌윤(漢城左尹) 추증.➝ 8세 황유정(黃有定) : 7세 황근(黃瑾)의 셋째 아들. 초명은 지정(知定). 조선 태조~태종. 한성판윤(漢城判尹), 예조전서(禮曹典書), 공조전서(工曹典書), 형조전서(刑曹典書).[6]➝ 9세 황전(黃銓) : 8세 황유정(黃有定)의 첫째 아들. 조선(朝鮮), 사헌부(司憲府) 지평(持平). 판서(判書).지평공파(持平公派) - 파시조 : 9세 황전(黃銓)
➝ 9세 황현(黃鉉) : 8세 황유정(黃有定)의 둘째 아들. 호는 제주(祭酒). 조선 태종~세종. 가선대부(嘉善大夫), 성균관대사성(成均館大司成), 인수부윤(仁壽府尹), 행성균대사성(行成均大司成).대사성공파(大司成公派) - 파시조 : 9세 황현(黃鉉)
➝ 9세 황연(黃鋋) : 8세 황유정(黃有定)의 셋째 아들. 호는 훈도(訓導). 조선. 승의랑(承議郎), 선성현령(宣城縣令).훈도공파
(訓道公派)

- 파시조 : 9세
황연(黃鋋)
➝ 7세 황규(黃珪) : 6세 황원로(黃原老)의 다섯째 아들. 고려(高麗), 중랑장(中郞將).

→ 8세 황중록(黃中祿) : 7세 황규의 첫째 아들. 중랑장(中郞將).
→ 9세 황희덕(黃希德) : 8세 황중록의 외아들. 정용장군(精勇將軍).
→ 10세 황진(黃溍) : 9세 황희덕의 외아들. 삼사도사(三司都事).

중랑장공파(中郞將公派) - 파시조 : 7세 황규(黃珪)
➝ 7세 황현(黃㻆) : 6세 황원로(黃原老)의 여섯째 아들. 고려(高麗), 형조전서(刑曹典書).

→ 8세 황영(黃榮) : 7세 황현(黃㻆)의 외동 아들. 고려(高麗), 형조전서(刑曹典書).
→ 9세 : 황계생(黃啓生) : 8세 황영(黃榮)의 외동 아들.
→ 10세 : 황거역(黃居易) : 9세 황계생(黃啓生)의 첫째 아들. 14세까지 이어짐.
→ 10세 : 황유린(黃有鄰) : 9세 황계생(黃啓生)의 둘째 아들. 조선(朝鮮), 주부(主簿).

전서공파(典書公派) - 파시조 : 7세 황현(黃㻆)

[2] 5세 황서정(黃西挺) : 4세 황진의 둘째 아들.

[편집]

➝ 5세 황서정(黃西挺)  : 고려(高麗). 충의부판관(忠義府判官).
➝ 6세 황문신(黃文信)  : 5세 황서정(黃西挺)의 셋째 아들. 고려(高麗). 직제학(直提學), 형조전서(刑曹典書).

→ 7세 황천부(黃天富) : 6세 황문신(黃文信)의 첫째 아들. 고려(高麗). 내금위장(內禁衛將), 한림원직강(翰林院直講).

→ 8세 황인비(黃仁庇) : 7세 황천부(黃天富)의 외아들. 조선(朝鮮) 진사(進士).
→ 9세 황희석(黃希錫) : 8세 황인비(黃仁庇)의 외아들. 조선(朝鮮) 참봉(參奉).
→ 10세 황상길(黃裳吉) : 9세 황희석(黃希錫)의 외아들. 조선(朝鮮) 성균진사(成均進士).
→ 11세 황정(黃玎) : 10세 황상길(黃裳吉)의 외아들. 호는 불권헌(不倦憲). 조선 성종~연산군. 혜민서교수(惠民署敎授), 승문원교검(承文院校檢), 사간원정언(司諫院正言), 승문원교리(承文院校理), 경상도도사(慶尙道都事), 경산현령(慶山縣令), 덕산현감(德山縣監), 성균관전적(成均館典籍).
→ 12세 황처중(黃處中) : 11세 황정의 외아들. 조선 중종(中宗). 통덕랑(通德郎), 헌릉참봉(獻陵參奉).

불권헌공파(不倦憲公派) - 파시조 : 11세 황정(黃玎)
→ 7세 황천귀(黃天貴) : 6세 황문신(黃文信)의 둘째 아들. 고려(高麗), 충의부판관(忠義府判官).천귀공파(天貴公派) - 파시조 : 7세 황천귀(黃天貴)

검교공파(檢校公派) 항렬

[편집]
24세25세26세27세28세29세30세31세32세33세34세35세36세37세38세39세40세41세
口주(周)口진(鎭)영(永)병(秉)口섭(燮)재(載)
재(在)
口석(錫)하(河)口주(柱)口환(煥)기(基)口흠(欽)태(泰)口식(植)병(炳)口규(奎)종(鍾)口순(淳)

문절공파(文節公派) - 황유중의 둘째인 4세 황서(黃瑞)의 후손들

[편집]

문절공파(文節公派)의 시조 : 황유중의 둘째인 4세 황서(黃瑞). 고려(高麗).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 금어대(金魚袋), 첨의평리(僉議評理), 문하시중(門下侍中).
➝ 5세 황종량(黃宗亮) : 황서(黃瑞)의 외아들. 고려(高麗). 호부전서(戶部典書).
➝ 6세 황세영(黃世英) : 황종량(黃宗亮)의 외아들. 고려(高麗). 향공진사(鄕貢進士), 예빈사동정(禮賓寺同正).
➝ 7세(용기, 운기)[7]

[1] 7세 황용기(黃龍起) : 6세 황세영의 첫째 아들

[편집]
분파파시조
예빈공파(禮賓公派)7세 황용기(黃龍起) : 6세 황세영의 첫째 아들. 고려(高麗). 예빈정(禮賓正).

➝ 8세 황길보(黃吉甫) : 7세 황용기의 첫째 아들. 병사(兵使).
➝ 9세 황득재(黃得載) : 8세 황길보의 첫째 아들. 함풍현감(咸豊縣監).
➝ 10세 황옥숭(黃玉崇) : 9세 황득재의 첫째 아들. 한성판윤(漢城判尹).
➝ 11세 황보곤(黃輔坤) : 10세 황옥숭의 외동 아들. 생원(生員).
➝ 12세 황우(黃瑀) : 11세 황보곤의 첫째 아들. 성주목사(星州牧使).
➝ 13세 황응징(黃應澄) : 12세 황우의 셋째 아들. 통정대부(通政大夫), 장예원판결사(掌隸院判決事) 추증.

➝ 14세 황여일(黃汝一) : 13세 황응징의 외아들로 선무훈이등공신(宣武勳二等功臣)이자 해월공파의 파시조

[편집]
분파파시조
해월공파(海月公派)14세 황여일(黃汝一) : 조선 선조~광해군. 승문원교리(承文院校理), 사간원헌납(司諫院獻納), 세자시강원필선(世子侍講院弼善), 사헌부장령(司憲府掌令), 선무훈이등공신(宣武勳二等功臣), 형조정랑(刑曹正郞), 임진왜란 도원수 권율(權慄)의 종사관, 장악원정(掌樂院正), 예천군수(醴泉郡守), 길주목사(吉州牧使), 동래진병마첨절제사(東萊鎭兵馬僉節制使) . 가선대부(嘉善大夫), 이조참판(吏曹參判), 동지경연사(同知經筵事), 동지의금부사(同知義禁府事), 동지춘추관사(同知春秋館事), 동지성균관사(同知成均館事), 홍문관 제학((弘文館 提學), 예문관 제학(藝文館 提學), 세자좌부빈객(世子左副賓客), 통정대부(通政大夫), 공조참의(工曹參議), 지제교(知製敎) 추증.

➝ 15세 황중윤(黃中允) : 14세 황여일의 첫째 아들. 통정대부(通政大夫), 승정원좌부승지(承政院左副承旨), 지제교(知製敎), 경연참찬관(經筵參贊官).

[2] 7세 황운기(黃雲起) : 6세 황세영의 둘째 아들

[편집
[이 게시물은 최고관리자님에 의해 2024-12-10 08:03:03 평해황 대동보 편찬위원회에서 이동 됨]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사명 (주)스피드레이저기술 주소 경기도 광명시 하안로 108 에이스광명타워 208호 사업자 등록번호 119-86-49539 대표 황병극 전화 02-808-3399 팩스 02-6442-7601